Research Article

Hort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31 October 2019. 651-662
https://doi.org/10.7235/HORT.20190065

ABSTRACT


MAIN

  • 서 언

  • 재료 및 방법

  •   실험 재료

  •   표준품 및 시약

  •   추출 및 검액의 조제

  •   LC-MS/MS 분석조건

  •   분석법의 유효성 검증

  • 결과 및 고찰

  •   플라보노이드 분석법 확립

  •   감귤 과즙의 플라보노이드 특성

서 언

감귤은 국내는 물론 전세계에서도 가장 많이 생산되는 과일로 과즙이 많고 풍미가 독특하여 생과일 뿐만 아니라 음료의 재료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과일에는 식품학적으로 중요한 당과 유기산을 함유할 뿐만 아니라, 생리적으로 중요한 비타민, 플라보노이드 등을 많이 함유하고 있다.

감귤에는 60여 종이 플라보노이드가 flavone, flavanone, polymethoxy flavone 형태로 존재하며(Horowitz and Gentili, 1977), 과즙 중에는 44종의 플라보노이드가 존재하는 것으로 보고 되었는데, 감귤 종류에 따라 성분과 함량 조성에 차이를 보인다고 하였다(Gattuso et al., 2007; Piao et al., 2011). Flavanone은 과피의 안쪽 흰색 부위인 알베도(albedo) 층에 가장 많고, flavone은 과피의 황색 부분인 플라베도(flavedo) 층에 많이 분포한다(Nogata et al., 2006). Polymethoxy flavone은 감귤 특이 플라보노이드로 과피의 정유에서 주로 검출된다(Gattuso et al., 2007; Han et al., 2010). 국내산 감귤의 플라보노이드 함량에 대한 연구로는 제주 재래귤(Kim et al., 2009), 만감류(Lee and Kang, 1997), 온주밀감(Kim et al., 2001; Park et al., 2015; Han et al., 2019), 감귤 착즙박(Yang et al., 2008), 부지화(Han et al., 2012) 등이 보고 되고 있다.

플라보노이드의 효능에는 항산화 작용(Mokbel and Hashinaga, 2006; Mumivand et al., 2017), 항암작용(Yoshimizu et al., 2004), 순환기계 질환의 예방(Benavente-Garcia and Castillo, 2008), 면역증강 작용(Park et al., 2008), 모세혈관 강화 작용(Son et al., 1992), 기억증강 작용(Kim et al., 2016), 신경세포 보호 효과(Kim et al., 2019), 당뇨 합병증 개선효과(Lee et al., 2018) 등이 보고 되고 있다. 특히 Polymethoxy flavone 중 sinensetin과 nobiletin은 인간의 적혈구 응집과 혈구침전의 비율을 감소시키는 작용을 하며(El-Shafae, 2002), tangeretin은 백혈병 세포의 성장을 저해하는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Hirano et al., 1995).

본 연구는 감귤류의 식용 부위인 과즙 중 플라보노이드의 분석법을 확립하고 함량 분석을 통하여 기능성 및 육종 소재로써 감귤 유전자원의 활용 가치를 높이고자 수행하였다.

재료 및 방법

실험 재료

제주특별자치도농업기술원에 보존 중인 감귤류 중 온주밀감(Citrus unshiu Marc.)을 제외한 유전자원 67개를 대상으로 하였다(Table 1). 시료는 농업과학기술 연구조사분석기준에 따라(RDA, 2012) 자원별 성숙기로 판단하는 착색이 80%되는 시기에 나무의 중간 높이에서 사방으로 달린 열매를 5과씩 채취하여 과피를 제거한 후 과육 부위를 착즙하였고, 착즙액을 -50°C에서 냉동 보관하면서 플라보노이드 분석용 시료로 사용하였다.

Table 1. Citrus genetic resources used in this study

Taxon Plant name IT No.z Abbr.
Grapefruit Golden Special 233903 GF01
Grapefruit 234069 GF02
P. Star ruby 256264 GF03
Mandarin Gamja 233657 MA01
Kinokuni 233670 MA02
Yosida ponkan 234077 MA03
Nova 233768 MA04
Dongjungkyul 233658 MA05
Ponkan 233839 MA06
Byungkyul 233687 MA07
Binkyul 233672 MA08
Orlando 233765 MA09
Inchangkyul 234072 MA10
Nagano No.3 282104 MA11
Page 233823 MA12
Kousyun ponkan 233898 MA13
Pomelo Dangyuja 234071 PO01
Matou 282108 PO02
Sadugam 233688 PO03
Hyuganatsu 234009 PO04
Hassaku 233664 PO05
Benihasaku 233718 PO06
Sour orange Kawano 234068 SS01
Shinamanatsu 233679 SS02
Tachibana orange 233680 SS03
Joadung 233655 SS04
Jigak 233656 SS05
Natsudaidai 233682 SS06
Hwangkum hakyul 233684 SS07
Sweet orange Yoshida navel 234053 SW01
Oomishima navel 234056 SW02
Valencia late 233732 SW03
Shirayanagi navel 233726 SW04
Fukuichi navel 234055 SW05

zPlant germplasm's accession number in National Agrobiodiversity Center in Korea.

표준품 및 시약

플라보노이드의 표준품 중에서 hesperidin(Hes), neohesperidin(Neh), naringin(Nag), diosmin(Dio), nobiletin(Nob), tangeretin(Tan)은 Sigma-Aldrich(USA) 제품을, narirutin(Nar), eriocitrin(Eri), neoeriocitrin(Nee), sinensetin(Sin)은 ChromaDex(USA) 제품을 구입하여 사용하였다(Fig. 1). 추출 및 분석 시약으로 methanol과 water는 Burdick & Jackson (USA) 제품을, ammonium formate와 formic acid은 Sigma-Aldrich(USA) 제품을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http://static.apub.kr/journalsite/sites/kshs/2019-037-05/N0130370511/images/HST_37_05_11_F1.jpg
Fig. 1.

Chemical structures of 10 flavonoid standards. Eriocitrin (A), Neoeriocitrin (B), Narirutin (C), Naringin (D), Hesperidin (E), Neohesperidin (F), Diosmin (G), Sinensetin (H), Nobiletin (I), and Tangeretin (J).

추출 및 검액의 조제

자원별로 80% 착색기에 채취하여 과육부위를 착즙한 과즙액에 5 mM ammonium formate와 0.1% formic acid을 함유하는 80% methanol을 20배량 가한 다음, 고속브랜더(Polytron PT3100D, Kinematica AG, Swizland)를 이용하여 5분 동안 10,000rpm으로 추출 및 균질화한 후 0.2 µm membrane filter (Ministart RC 15, Sartorius stedim, Germany)로 여과한 것을 기기분석용 검액으로 사용하였다.

LC-MS/MS 분석조건

감귤에 함유하는 플라보노이드 분석을 위한 액체크로마토그래프-질량분석기(Ultra-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 Triple Quadrupole Mass Spectrometry, UPLC-MS/MS)는 Waters ACQUITY & TQD(USA)를 이용하였다. 질량분석기(Mass Spectrometry, MS)의 이온화 방식은 ESI(Electro Spray Ionization) 법의 positive ion mode를 사용하였으며, 각각의 플라보노이드 종류별 질량 스펙트럼(mass spectrum)을 해석하여 MRM(multiple reaction monitoring) mode의 모분자(precursor ion)와 딸분자(product ions) 이온을 설정하였다. 분리조건으로는 Kinetex C18(2.1mm × 100mm, 1.7µm, Phenomenex, USA) UPLC column을 사용하여 5mM ammonium formate와 0.1% formic acid을 함유하는 methanol과 water를 이동상으로 하는 기울기 용리 방식으로 분리하였다. LC-MS/MS를 이용한 플라보노이드의 분석조건은 Tables 2 and 3에 요약하여 제시하였다. 그리고 플라보노이드가 분자량은 동일하나 화학구조가 다른 이성질체들이 존재하는 특성을 고려하여 시료의 크로마토그램 확인과 정량을 최적화하기 위하여 두 그룹으로 나누어 혼합 표준용액을 조제하여 기기분석에 사용하였다.

Table 2. LC-MS/MS analysis conditions

Parameter Conditions
Column Kinetex C18, 2.1 mm × 100 mm, 1.7 𝜇m (Phenomenex, USA)
Column temp. 37.5°C
Injection volume 5 𝜇l
Flow rate 0.3 ml/min
Mobile Phase A Methanol with 5 mM ammonium formate and 0.1% formic acid
Mobile Phase B Water with 5 mM ammonium formate and 0.1% formic acid
Gradient program Time (min) A (%) B (%)
Initial 13 87
6.0 15 85
10.0 25 75
10.1 47 53
10.5 47 53
14.0 58 42
15.5 95 5
17.5 95 5
18.0 13 87
20.0 13 87
Ionization mode ESI (Electrospray Ionization), positive
Capillary Voltage 3.0 kV
Source temp. 135°C
Desolvation temp. 450°C
Gas flow Desolvation 800 L/hr, Cone 50 L/hr
Scan type MRM (Multiple Reaction Monitoring) mode
Collision gas flow 0.15 ml/min (He, cell pressure 3.5 × 10-3 - 4.5 × 10-3 mBar)

Table 3. Flavonoid standard groups, retention time, precursor and product ions in this analysis by LC-MS/MS

Flavonoids Analytic
groupz
Retention time
(min)
Precursor ion
(m/z)
Product ions D1/D2y
(m/z)
Cone voltage
(V)
Collision energy
D1/D2
(eV)
Hes A 5.06 ESI+ → 611.0 303.0/152.9 23 20/47
Neh B 5.23 ESI+ → 611.0 303.0/152.9 25 20/45
Nar A 4.77 ESI+ → 581.1 273.0/418.0 23 23/13
Nag B 4.92 ESI+ → 581.1 273.0/152.9 23 20/43
Dio A 5.86 ESI+ → 609.0 301.0/200.9 27 30/30
Eri A 4.32 ESI+ → 597.2 289.0/153.0 25 23/45
Nee B 4.40 ESI+ → 597.2 289.0/153.0 25 15/45
Tan A 12.63 ESI+ → 374.0 344.0/182.9 40 30/45
Sin B 10.28 ESI+ → 373.1 343.1/152.9 45 30/40
Nob A 11.21 ESI+ → 403.1 372.9/182.9 40 33/45

zTwo mixed standard solution was prepared and used for analysis in order to optimize the chromatogram identification and quantification in the light of isomers.
yD1: target ion, D2: qualitative ion.

분석법의 유효성 검증

LC-MS/MS를 이용한 플라보노이드 분석법은 특이성(specificity), 직선성(linearity), 검출한계(limit of detection), 정량한계(limit of quantification)를 구하여 유효성을 검증하였다. 특이성은 플라보노이드 각각의 성분별 표준용액의 크로마토그램과 질량 스펙트럼(mass spectrum)으로 확인하였다. 직선성은 5mM ammonium formate와 0.1% formic acid을 함유하는 80% methanol을 사용하여 각각의 성분 별로 0.2 - 20.0mg·L-1 수준이 되도록 조제한 표준용액을 LC-MS/MS로 분석하여 얻어진 각각의 피크면적으로부터 표준 검량선을 작성하였다. 분석 물질의 검출과 정량이 가능한 최저농도를 확인하기 위해 의약품등 분석법의 밸리데이션에 대한 가이드라인(KFDA, 2004)을 적용하여 검출한계(LOD)와 정량한계(LOQ)를 구하였다. 검출한계는 LOD = 3.3 × σ/S 식을, 정량한계는 LOQ = 10 × σ/S 식을 이용하였다. 기울기 S는 검량선으로부터 구하였으며, 회귀직선에서 y 절편의 표준편차를 σ로 활용하였다.

결과 및 고찰

플라보노이드 분석법 확립

감귤류에 함유하는 플라보노이드 성분을 분석하기 위하여 특이성과 선택성이 탁월한 LC-MS/MS를 이용하여 신속하고 효율적인 다성분 동시 분석법을 확립하고자 하였다. Hesperidin 등 각각의 플라보노이드 성분에 대하여 표준용액을 ESI mode에서 tuning을 실시하여 질량 스펙트럼을 모니터링하면서 모분자의 이온화 및 질량분석기의 최적 MRM 조건을 설정하였다. MS scan에서는 모분자의 이온화를 최적화하는 precursor ion의 capillary voltage와 cone voltage 조건을, daughter scan에서 fragmentation을 유도하여 product ion의 최적 collision energy을 설정하였다. Product ion으로 정량이온(target ion)은 D1, 정성이온(qualitative ion)은 D2로 표시하였다. 대부분의 플라보노이드 성분은 ESI positive와 negative mode에서 모두 이온화되는 특성을 보였으나, 본 연구에서는 감도가 양호한 ESI positive를 선정하였고, 이온화 특성인 adduct는 [M + H]+ 형태로 검출됨을 확인하였으며, Table 3에 최적 분석조건을 요약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hesperidin과 neohesperidin인 경우는 서로 구조 이성질체로 MRM 조건이 같기 때문에 이들 성분의 정량을 위해서 Table 3의 질량분석기 분석조건에서 물질분리가 이루어질 수 있는 분석 컬럼과 이동상의 기울기 조건 등 UPLC의 최적 분석조건을 Table 2와 같이 설정할 수 있었다. 설정된 LC-MS/MS의 분석조건에서 hesperidin 등 감귤에 함유하는 10 종의 플라보노이드 표준용액의 크로마토그램은 Fig. 2와 같다. 머무름 시간(retention time)이 각각 다른 시간대에 검출되어 물질 분리능은 적합하다고 판단 되었으며, LC-MS/MS의 이온화 조건 및 MRM 특성과 크로마토그램을 통하여 분석법의 특이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LC-MS/MS 분석시, 선택성과 특이성을 지닌 MRM 조건으로 모니터링 하므로 물질분리가 중요하지 않지만, MRM 조건이 같은 이성질체인 경우 물질분리가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구조이성질체인 eriocitrin(Eri)과 neoeriocitrin(Nee)은 분리도 1.5 이상의 뚜렷한 분리가 이루어지지 않았으나, Figs. 2 and 3에 제시한 바와 같이 Eri와 Nee의 머무름 시간은 각각 4.30과 4.40으로 두 물질의 정성적 확인과 정량에 적합한 물질분리가 이루어졌다고 판단된다. Medina-Remón et al.(2011)은 감귤류 3 종의 착즙액의 플라보노이드 조성 및 함량 분석을 위하여 정성적으로는 UPLC/PDA를, 정량적으로는 LC-MS/MS를 이용하여 동시 신속 분석법을 제시하였는데, 본 연구에서는 LC-MS/MS를 이용하여 정성과 정량을 모두 수행하였고, 정성적 분석 결과는 제시한 방법과 차이가 없었다.

http://static.apub.kr/journalsite/sites/kshs/2019-037-05/N0130370511/images/HST_37_05_11_F2.jpg
Fig. 2.

UPLC-MS/MS chromatograms of 10 flavonoid standards. Eri (A), Nee (B), Nar (C), Nag (D), Hes (E), Neh (F), Dio (G), Sin (H), Nob (I), and Tan (J).

http://static.apub.kr/journalsite/sites/kshs/2019-037-05/N0130370511/images/HST_37_05_11_F3.jpg
Fig. 3.

UPLC-MS/MS chromatograms of citrus juice (PA02).

감귤에 함유하는 플라보노이드 성분의 검량선 작성을 위하여 혼합 표준용액을 조제하여 LC-MS/MS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Hesperidin 등 10 종 성분의 검량선, 직선성, 검출한계 및 정량한계를 Table 4에 나타내었다. 표준용액을 0.2 - 20.0µg·mL-1의 농도 수준에서 분석대상 플라보노이드 성분의 검량선을 작성하였을 때에 결정계수(R2) 값이 0.9895 - 0.9992 범위로 직선성이 양호하였다. 10 종의 플라보노이드 성분의 검출한계는 0.0048 - 0.1778µg‧mL-1였고, 정량한계는 0.0146 - 0.5388µg‧mL-1 범위였다. Medina-Remón et al.(2011)은 결정계수가 R2 > 0.99이고, 검출한계와 정량한계가 각각 0.23과 0.77 이하로 낮아 분석법의 유효성이 인정된다고 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플라보노이드의 분석법을 확립하고, 유효성을 검증할 수 있었으며, 감귤 과즙의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분석하는데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Table 4. Linear equation, determination coefficient, LOD and LOQ of flavonoids in LC-MS/MS analysisz

Flavonoids Linear equation Determination coefficient (R2) LODy (𝜇g·mL-1) LOQy (𝜇g·mL-1)
Hes y = 2496.4x + 59.1 0.9976 0.0709 0.2148
Neh y = 4339.2x + 84.2 0.9895 0.0876 0.2654
Nar y = 3429.8x + 287.6 0.9985 0.0404 0.1225
Nag y = 1302.4x + 196.4 0.9931 0.1778 0.5388
Dio y = 18510.9x - 659.9 0.9951 0.0217 0.0659
Eri y = 1501.6x + 44.1 0.9992 0.0207 0.0626
Nee y = 849.7x + 5.09 0.9984 0.0893 0.2706
Tan y = 385268.0x + 6161.0 0.9906 0.0095 0.0289
Sin y = 575440.0x + 6145.0 0.9945 0.0114 0.0345
Nob y = 1002155.0x + 4320.0 0.9982 0.0048 0.0146

zInstrument linearity range: 0.1 - 10 𝜇g·mL-1.
yMean value from 3 measurements, LOD: Limit of detection, LOD: limit of quantitation.

감귤 과즙의 플라보노이드 특성

감귤 유전자원에 대하여 대표적인 기능성 물질인 플라보노이드 성분의 함량 및 조성 특성을 파악하여 기능성 소재 및 육종 자원으로 활용하고자 앞서 확립한 LC-MS/MS의 분석조건에서 다성분 동시 분석법으로 플라보노이드 분석을 실시하였다. 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조성 분석결과 대표적인 감귤 품종에 대한 크로마토그램을 제시하였다(Figs. 3 and 4). 80% 착색기에 수집한 67개 유전자원들의 과즙에 함유하는 플라보노이드 조성과 함량은 Table 5에 나타내었으며, 정량한계 미만으로 검출된 것은 불검출(ND: not detected)로 표시하였다. 80% 착색기 만감류의 과즙에는 온주밀감보다 neohesperidin과 neoeriocitrin 등 2 종이 더 많은 10 종이 분석되었다(Park et al., 2015). Hesperidin과 narirutin 성분 함량이 많은 특성을 보여 대표적인 플라보노이드 성분으로 확인 되었다. 또한, 감귤에서 특이적으로 나타나며, 기능성 활성이 높다고 알려진 polymethoxy flavone인 sinensetin, tangeretin, nobiletin 성분들도 전체적으로 함유하는 특성을 보였다. 품종에 따라 플라보노이드 및 그 이성질체의 함량과 조성이 다르게 나타나는 특성이 있었으며, 만다린, 스위트오렌지와 이들이 교잡에 의해 파생된 탄골류는 hesperidin, narirutin, eriocitrin 각각의 이성질체인 neohespridin, naringin, neoericitrin을 함유하지 않았고, 사우어오렌지와 자몽류는 naringin 함량이 hesperidin 함량보다 높게 나타나(Table 5), Gattuso et al.(2007)이 스위트오렌지류, 만다린류, 레몬류는 hesperidin이 가장 많고, 자몽류는 naringin이 가장 많다고 보고한 결과와 일치하였다.

http://static.apub.kr/journalsite/sites/kshs/2019-037-05/N0130370511/images/HST_37_05_11_F4.jpg
Fig. 4.

UPLC-MS/MS chromatograms of citrus juice (TA10).

Table 5. Mean values of flavonoid content in juice of 67 citrus germplasms analyzed by LC-MS/MS (Unit: 𝜇g‧mL-1 FW)

Accessionz Hes Neh Nar Nag Eri Nee Dio Sin Tan Nob
GF01 168.14 94.31 23.93 111.50 0.82 5.04 30.06 0.04 0.17 0.20
GF02 60.89 15.46 387.37 2553.60 0.78 1.50 10.89 0.11 1.02 1.50
GF03 46.79 15.53 296.13 743.39 NDy ND 6.44 0.08 0.22 0.39
MA01 106.57 ND 23.82 ND 7.02 ND 14.09 0.02 0.24 0.24
MA02 2377.30 ND 87.19 ND 1.91 ND 424.95 0.31 1.68 4.01
MA03 1090.45 ND 19.53 ND 2.43 ND 150.13 0.15 0.88 1.64
MA04 428.50 ND 14.18 ND 0.89 ND 76.60 0.11 0.12 0.25
MA05 325.43 ND 56.38 ND 0.80 ND 44.80 0.87 0.19 1.06
MA06 1485.18 ND 55.81 ND 2.77 ND 265.48 0.49 5.46 7.58
MA07 656.84 ND 104.81 ND 78.75 ND 117.41 0.99 11.61 15.27
MA08 461.93 ND 12.24 ND 0.63 ND 82.57 0.03 0.08 0.40
MA09 907.55 ND 39.55 ND 0.62 ND 162.23 0.14 0.51 0.76
MA10 195.26 ND 63.10 ND 45.36 ND 26.88 0.28 1.29 2.74
MA11 1258.02 ND 32.22 ND 1.63 ND 224.88 0.22 1.38 1.79
MA12 1277.53 ND 32.36 ND 3.79 ND 228.36 0.67 0.23 0.56
MA13 1345.28 ND 36.99 ND 1.02 ND 185.21 1.88 11.70 19.46
PO01 64.61 154.37 78.35 201.39 15.98 35.21 8.54 0.22 2.52 3.78
PO02 11.58 3.57 19.19 638.68 ND 5.62 1.59 0.03 0.07 0.07
PO03 9.75 ND 140.46 ND 7.60 ND 1.74 0.04 0.22 0.52
PO04 298.15 ND 45.11 ND 0.69 ND 53.29 0.02 0.08 0.20
PO05 113.51 41.04 88.71 139.74 0.70 1.34 15.63 0.06 0.10 0.15
PO06 139.21 79.14 80.43 227.45 1.11 3.27 24.89 0.01 0.17 0.14
SS01 43.44 26.09 42.09 162.09 ND ND 5.74 0.04 0.91 0.61
SS02 84.87 ND 176.86 362.03 ND ND 11.22 0.01 0.31 0.22
SS03 86.91 29.47 77.76 189.36 ND ND 11.97 0.02 0.26 0.20
SS04 155.59 93.06 24.42 270.09 ND 148.73 20.57 0.12 0.49 0.69
SS05 231.27 ND 36.95 203.66 ND 138.16 41.34 0.01 0.15 0.29
SSP6 93.32 41.29 57.29 340.10 ND 1.74 16.68 0.01 0.80 0.53
SS07 127.36 40.47 65.55 161.42 ND ND 16.84 0.02 0.54 0.26
SW01 462.71 ND 65.80 ND 1.77 ND 63.70 2.19 0.51 2.91
SW02 622.73 ND 50.34 ND 3.76 ND 111.32 0.29 0.21 0.67
SW03 595.40 ND 30.50 ND 0.59 ND 106.43 4.75 1.64 6.59
SW04 502.97 ND 85.39 ND 1.19 ND 69.25 0.90 0.14 0.99
SW05 640.21 ND 93.52 ND 2.80 ND 88.14 1.65 0.28 1.97
SW06 2353.98 ND 160.68 ND 10.85 ND 420.78 0.98 0.59 1.98
SW07 2463.87 ND 178.87 ND 5.15 ND 440.43 2.82 0.79 4.59
SW08 1011.36 ND 167.06 ND 3.76 ND 139.24 4.30 1.58 7.41
SW09 484.23 ND 80.93 ND 1.92 ND 66.67 1.13 0.57 2.41
SW10 760.91 ND 36.34 ND 0.94 ND 104.76 1.41 0.73 2.20
PA01 103.73 9.63 27.02 15.70 ND ND 18.54 0.01 0.02 0.05
PA02 125.37 17.92 52.80 31.06 27.28 4.98 16.58 0.04 0.03 0.11
PA03 73.50 9.21 15.42 14.87 10.95 ND 13.14 0.01 0.03 0.03
PA04 273.76 33.07 125.58 60.68 0.54 1.86 37.69 0.34 0.13 0.55
PA05 331.14 30.86 107.97 59.32 2.16 ND 43.78 0.07 0.16 0.50
PA06 95.43 8.59 30.01 15.11 ND ND 17.06 0.01 0.01 0.01
PA07 293.15 37.09 122.30 65.06 1.22 2.13 40.36 0.35 0.17 0.54
PA08 338.44 22.31 154.47 58.22 0.51 2.37 60.50 0.02 0.27 0.27
TA01 1160.54 ND 52.38 ND 2.45 ND 153.44 0.07 0.25 0.50
TA02 116.94 ND 19.64 ND 0.60 ND 20.90 0.02 0.10 0.15
TA03 475.58 ND 83.34 ND 1.70 ND 65.47 0.05 0.19 0.37
TA04 391.24 ND 72.87 ND 3.81 ND 53.86 0.01 0.05 0.07
TA05 2091.63 ND 406.36 ND 3.53 ND 373.89 0.13 0.45 1.12
TA06 295.85 ND 102.70 ND 1.09 ND 40.73 0.31 0.12 0.25
TA07 50.32 ND 64.73 6.81 2.29 ND 6.93 0.36 0.04 0.29
TA08 799.74 ND 80.33 ND 1.36 ND 142.96 0.07 0.47 0.53
TA09 745.00 ND 120.83 ND 1.54 ND 98.50 0.13 0.15 0.25
TA10 2647.84 ND 299.25 ND 4.56 ND 350.09 0.17 1.10 2.11
TA11 644.56 ND 45.88 ND 2.85 ND 115.22 0.08 0.11 0.67
TA12 739.35 ND 122.28 ND 9.60 ND 101.79 0.12 0.30 1.34
TA13 577.20 ND 76.21 ND 2.72 ND 76.32 0.28 0.12 0.31
TA14 469.25 ND 54.03 ND 1.07 ND 64.60 0.59 0.57 1.16
TA15 1102.56 ND 55.56 ND 2.06 ND 197.09 0.13 0.40 0.91
TA16 490.24 ND 44.84 ND 0.51 ND 87.63 0.02 0.47 0.52
TA17 380.56 ND 44.84 ND 1.50 ND 52.39 0.24 0.30 0.81
TG01 630.94 ND 32.47 ND 1.08 ND 86.86 0.07 0.22 0.47
TG02 877.20 ND 75.37 ND 1.78 ND 115.98 0.08 1.41 1.55
TG03 294.73 ND 115.96 ND 3.29 ND 40.58 0.08 0.21 0.31

zSee Table 1. Taxon of accession GF01 - 03: grapefruit, MA01 - 13: mandarin, PO01 - 06: pomelo, SS01 - 07: sour orange, SW01 - 10: sweet orange, PA01 - 08: papeda, TA01 - 17: tangor, TG01 - 03: tangelo
yND: not detected.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조향’(TA10) 품종에서 가장 높았고, ‘상귀넬리’(SW07), ‘그레이프프루트’(GF02), ‘삼전네블’(SW06), ‘기주밀감’(MA02), ‘미호콜’(TA05)이 다른 품종에 비해 매우 높게 나타났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높은 이들 품종과 더불어 neohesperidin 함량이 가장 높은 ‘당유자’(PO01)와 neoeriocitrin 함량이 가장 높은 ‘좌등’(SS04) 등도 특유의 플라보노이드를 이용 또는 연구하는데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육종 소재로도 이용가치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특히 제주 재래귤인 ‘병귤’(MA07)은 항암활성과(Miyata et al., 2008), 알츠하이머병 개선(Onozuka et al., 2008)에 효과가 있는 nobiletin과 파킨슨병 치료에 효과를 기대하고 있는(Datla et al., 2001) tangeretin 함량이 높아 현재까지 활용도가 낮은 재래귤의 이용 가능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Rhyu et al.(2002)이 고감도 감미료 NHP-DC의 전구물질인 neohesperidin 함량이 높은 ‘당유자’, ‘지각’(SS05) 등은 상업적 활용가능성이 높다고 하였는데, 본 연구에서도 비슷한 결과를 보였다.

Acknowledgements

본 연구는 농림축산식품부, 해양수산부, 농촌진흥청, 산림청 Golden Seed 프로젝트 사업(원예종자사업단, 과제번호: 213007-05-3-WTP31)에 의해 수행되었음.

References

1
Benavente-Garcia O, Castillo J (2008) Update on uses and properties of Citrus flavonoids: New findings in anticancer, cardiovascular, and anti-inflammatory activity. J Agric Food Chem 56:6185-6205. doi:10.1021/jf8006568
10.1021/jf800656818593176
2
Datla KP, Christidou M, Widmer WW, Rooprai HK, Dexter DT (2001) Tissue distribution and neuroprotective effects of citrus flavonoid tangeretin in a rat model of Parkinson's disease. Neuroreport 12:3871-3875. doi:10.1097/00001756-200112040-00053
10.1097/00001756-200112040-0005311726811
3
El-Shafae AM (2002) Bioactive polymethoxyflavones and flavanone glycosides from the peels of Citrus deliciosa. Zhonghua Yao Xue Za Zhi 54:199-206
4
Gattuso G, Barreca D, Gargiull, C, Leuzzi U, Caristi C (2007) Flavonoid composition of citrus juices. Molecules 12:1641-1673. doi:10.3390/12081641
10.3390/1208164117960080PMC6149096
5
Han S, Kim HM, Lee JM, Mok S-Y, Lee S (2010)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polymethoxyflavones from the hybrid Citrus, Hallabong. J Agric Food Chem 58:9488-9491. doi:10.1021/jf102730b
10.1021/jf102730b20698540
6
Han S, Kim HM, Lee S (2012)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polymethoxyflavones in Citrus species, Kiyomi tangor and Satsuma mandarin, by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Food Chem 134:1220-1224. doi:10.1016/j.foodchem.2012.02.187
10.1016/j.foodchem.2012.02.18723107751
7
Han SH, Kang SB, Moon YJ, Moon BY (2019) Changes in fruit quality, antioxidant activity, and flavonoid content with limited irrigation after full bloom of early-maturing 'Harye' Satsuma mandarin in a plastic greenhouse. Hortic Sci Technol 37:10-19. doi:10.12972/ kjhst.20190002
10.12972/kjhst.20190002
8
Hirano T, Abe K, Gotoh M, Oka K (1995) Citrus flavone tangeretin inhibits leukaemic HL-60 cell growth partially through induction of apoptosis with less cytotoxicity on normal lymphocytes. Br J Cancer 72:1380-1388. doi:10.1038/bjc.1995.518
10.1038/bjc.1995.5188519648PMC2034105
9
Horowitz RM, Gentili B (1977) Flavonoid constituents of citrus. In S Nagy, PE Shaw, MK Veldhuis, eds, Citrus Science and Technology, Vol I. AVI Publishing Co Inc, Westport, CT, pp 397-426
10
KFDA (2004) Analytical method guideline about validation of drugs and etc,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pp 1-18
11
Kim JH, Lee J, Lee S, Cho EJ (2016) Quercetin and quercetin-3-β-d-glucoside improve cognitive and memory function in Alzheimer's disease mouse. Appl Biol Chem 59:721-728. doi:10.1007/s13765-016-0217-0
10.1007/s13765-016-0217-0
12
Kim JH, Lee S, Cho EJ, Kim HY (2019) Neuroprotective effects of kaempferol, quercetin, and its glycosides by regulation of apoptosis. J Korea Acad-Ind Coop Soc 20:286-293
13
Kim YC, Koh KS, Koh JS (2001) Changes of some flavonoids in the peel of satsuma mandarin (Citrus unshiu) harvested during maturation. Agric Chem Biotechnol 44:143-146
14
Kim YD, Ko WJ, Koh KS, Jeon WJ, Kim SH (2009) Composition of flavonoids and antioxidative activity from juice of Jeju native citrus fruits during maturation. Korean J Nutr 42:278-290. doi:10.4163/kjn.2009.42.3.278
10.4163/kjn.2009.42.3.278
15
Lee CH, Kang YJ (1997) HPLC analysis of some flavonoids in citrus fruits. Korean J Post-harvest Sci Technol Agri Prod 4:181-187
16
Lee J, Lee DG, Rodriguez JP, Park JY, Cho EJ, Jacinto SD, Lee H (2018) Determination of flavonoids in Acer okamotoanum and their aldose reductase inhibitory activities. Hortic Environ Biotechnol 59:131-137. doi:10.1007/s13580-018-0014-2
10.1007/s13580-018-0014-2
17
Medina-Remón A, Tulipani S, Rotchés-Ribalta M, Mata-Bilbao MDL, Andres-Lacueva C, Lamuela-Raventos RM (2011) A fast method coupling ultra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with diode array detection for flavonoid quantification in citrus fruit extracts. J Agric Food Chem 59:6353-6359. doi:10.1021/jf200625z
10.1021/jf200625z21591716
18
Miyata Y, Sato T, Imada K, Dobashi A, Yano M, Ito A (2008) A citrus polymethoxy-flavonoid, nobiletin, is a novel MEK inhibitor that exhibits antitumor metastasis in human fibrosarcoma HT-1080 cells. Biochem Biophys Res Commun 366:168-173. doi:10.1016/ j.bbrc.2007.11.100
10.1016/j.bbrc.2007.11.10018053806
19
Mokbel MS, Hashinaga F (2006) Evaluation of the antioxidant activity of extracts from buntan (Citrus grandis Osbeck) fruit tissues. Food Chem 94:529-534. doi:10.1016/j.foodchem.2004.11.042
10.1016/j.foodchem.2004.11.042
20
Mumivand H, Babalar M, Tabrizi L, Craker LE, Shokrpour M, Hadian J (2017) Antioxidant properties and principal phenolic phytochemicals of Iranian tarragon (Artemisia dracunculus L.) accessions. Hortic Environ Biotechnol 58:414-422. doi:10.1007/s13580-017-0121-5
10.1007/s13580-017-0121-5
21
Nogata Y, Sakamoto K, Shiratsuchi H, Ishil T, Yano M, Ohta H (2006) Flavonoid composition of fruit tissues of citrus species. Biosci Biotechnol Biochem 70:178-192. doi:10.1271/bbb.70.178
10.1271/bbb.70.17816428836
22
Onozuka H, Nakajima A, Matsuzaki K, Shin RW, Ogino K, Saigusa D, Tetsu N, Yokosuka A, Sashida Y, et al. (2008) Nobiletin, a citrus flavonoid, improves memory impairment and Aβ pathology in a transgenic mouse model of Alzheimer's disease. J Pharmacol Exp Therap 326:739-744. doi:10.1124/jpet.108.140293
10.1124/jpet.108.14029318544674
23
Park JH, Kang BW, Kim JE, Seo MJ, Lee YC, Lee JH, Joo WH, Choi YH, Lim HS, et al. (2008) Effect of ethanol extract from peel of Citrus junos and Poncirus trifoliata on antioxidant and immune activity. J Life Sci 18:403-408. doi:10.5352/JLS.2008.18.3.403
10.5352/JLS.2008.18.3.403
24
Park YC, Yang YT, Kim JY, Lee CH, Kang SH, Kang JH (2015) Characteristics of flavonoids in juice and cluster analysis of satsuma mandarin germplasms. Korean J Plant Res 28:16-25. doi:10.7732/kjpr.2015.28.1.016
10.7732/kjpr.2015.28.1.016
25
Piao X-L, Wu Q, Han S, Kim HY, Lee S (2011)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flavone glycosides in the fruit of Citrus paradise and C. grandis by HPLC-PDA. Nat Prod Sci 17:337-341
26
RDA (2012) Standard of analysis and survey for agricultural research. pp 619-668
27
Rhyu MR, Kim EY, Bae IY, Park YK (2002) Contents of naringin, hesperidin and neohesperidin in premature Korean citrus frui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4:132-135
28
Son HS, Kim HS, Kwon TB, Ju JS (1992) Isolation, purification and hypotensive effects of bioflavonoids in Citrus sinensis. J Korean Soc Food Nutr 21:136-142
29
Yang YT, Kim MS, Hyun KH, Kim YC, Koh JS (2008) Chemical constituents and flavonoids in citrus pressed cake. Korean J Food Preserv 15:94-98
30
Yoshimizu N, Otani Y, Saikawa Y, Kubota T, Yoshida M, Furukawa T, Kumai K, Kameyama K, Fujii M, et al. (2004) Anti-tumour effects of nobiletin, a citrus flavonoid, on gastric cancer include: Antiproliferative effects, induction of apoptosis and cell cycle deregulation. Aliment Pharmacol Ther 1:95-101. doi:10.1111/j.1365-2036.2004.02082.x
10.1111/j.1365-2036.2004.02082.x15298613
페이지 상단으로 이동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