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ivar and Germplasm Release

Hort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31 October 2020. 754-761
https://doi.org/10.7235/HORT.20200068

ABSTRACT


MAIN

  • 서 언

  • 재료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육성 경위

  •   모·부본의 주요 특성

  •   정원용 아시아틱나리 일대잡종인 ‘Bright Yellow LiA’의 주요 특성

  •   재배상 유의점

  •   유용성

서 언

나리는 백합의 순 우리말로 원예적으로 오리엔탈 나리(Lilium Oriental Hybrids), 아시아틱 나리(Lilium Asiatic Hybrids) 및 나팔나리(Lilium longiflorum Thunb.)로 구분되며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나리는 참나리, 하늘나리, 말나리, 땅나리, 솔나리 등 약 10종, 7변종이 있다(Leslie, 1982; Lee, 1989). 2019년까지 국내에서 육성되어 국립종자원에 등록된 나리 품종은 213개이지만 대부분이 절화용이다. 분화용 아시아틱 나리 품종으로 ‘예리’(Rhee et al., 2010), ‘오렌지송’(Lee et al., 2013), ‘Red LiASong’, ‘Bicolor LiASong’ 등 30여 품종이 개발되었지만, 보급면에서는 일부 품종이 구근 증식 중에 있는 것에 불과하다.

한편 우리나라 나리 품종 개발은 생산 기간 단축, 화색 및 화형의 다양성, 환경 적응성, 수명, 내병성, 내한성 등에 관련된 형질을 개량시키기 위해 노력해 왔다(Kang et al., 2013; Lee et al., 2013). 현재 수목원·정원의 조성 및 진흥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어 정원용 식물의 이용이 확대되고 있는 상황에서, 외국에서 분화용으로 개발되어 보급되는 품종이 정원용으로 활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외국에서 육성된 분화용 아시아틱 나리 품종은 30여 년 전부터 Matrix Series, Pixi Series에 이어 Tiny Series 등 30여 개가 육성되어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품종은 분화용으로 개발되었기 때문에 우리나라에서 화단용으로 이용하였을 때 우리나라의 겨울의 최저온도(1월, ‑ 10°C 정도)를 견디는 품종(‘Golden Matrix’, ‘Tiny Bee’ 등)이 있는가 하면 저온을 이기지 못하고 동사하는 경우도 많다. 이와 같이 해외에서 개발된 분화용 나리 품종은 국내 환경에 적응을 못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어 우리 환경에 맞고 우리나라 사람이 선호하는 형질을 보유한 국내 품종개발이 시급한 상황이다.

정원용 나리 품종은 우리나라의 계절 환경에 잘 적응이 되면서 생육 특성이 비슷한 다양한 화색의 Series 품종을 육성할 필요가 있다. 왜냐하면 정원에 여러가지 화색을 조화롭게 장식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소비자가 희망하는 특성의 형질이 다양하게 조합된 Series 품종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순계를 양성할 필요가 있다(Natenapit et al., 2010; Song et al., 2015). 아시아틱나리는 다른 나리 종과의 종간잡종품종 육성이 가능하고(Islam et al., 2020) 비교적 종자 형성이 잘되는 경향이 있어 순계를 양성할 수 있다. 또한 이들 순계가 종자번식이 가능하다면 무병구를 양성하기 위하여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조직배양 없이 나리의 구근을 보급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품종은 형질 발현의 재현성이 보장되어 지금까지와는 크게 차별화 된 품종이 될 수 있다(Song, 2008). 따라서 본 연구는 정원용 나리 재배품종에서 자식을 거듭하여 순계를 양성한 후, 이들 순계 간 일대 교잡을 하여 종자 번식이 가능하고 조합 능력이 우수한 노란색의 아시아틱 나리를 선발하였다.

재료 및 방법

정원용 아시아틱 나리의 품종을 육성하기 위하여 2000년에 시판되는 나리 품종인 ‘Mona’, ‘Butter Pixie’와 ‘Tiny Bee’를 수집하였다. 수집 품종으로 순계를 양성하기 위하여 모계(L2-17-4)는 ‘Mona’와 ‘Butter Pixie’의 교배 조합에서, 부계(L2-32-5)는 ‘Tiny Bee’를 2002년부터 2014년까지 자가 수정을 실시하여 2년에 한 차례씩 세대 진전시켰다. 매 세대마다 채종된 종자를 파종하여 생육 및 개화 조사를 바탕으로 형질의 분산 및 균일성을 조사하였다. 2014년에 모계 ‘L2-17(S6)’와 부계 ‘L2-32(S7)’를 선발하고 잡종 1세대인 교배조합 ‘L2-17-4’בL2-32-5’을 채종하였다.

교배조합의 생육 및 개화 조사를 위하여 종자는 2014년 12월 10일에 한국농수산대학 실험온실에서 피트모스 혼합 상토(Sunshine #4, SunGro Co., Canada)를 사용하여 200립씩 플라스틱 파종상자(40 × 60 × 15cm)에 파종하였으며, 야간온도를 15°C로 유지하였다. 파종 60일 후 본엽이 2 ‑ 3개 형성된 균일한 묘를 32공 트레이(27 × 53 × 6cm)에 가식하였고, 정식은 2015년 9월 20일에 18cm 원형 플라스틱 화분에 1주씩 식재하였다. 정식한 교배조합의 생육 및 개화 특성의 조사는 첫 꽃이 피는 2016년 5월 말에 실시하였다. 육묘 및 정식에 사용한 배양토에는 완효성 비료(Osmocote, Scotts Co., 15+11+13+2MgO+TE)를 0.2% 혼합하였으며 정식 후 개화 전까지는 두상관수를 실시하였고, 개화가 시작 되는 5월부터는 꽃과 종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저면 관수를 하였다.

선발 교배조합의 균일성 및 현지 환경적응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파종에 의한 개화구를 2016년 8월 중순에 수확하여 저온저장(5 ± 1°C, 8주)한 다음에 구근 둘레가 16cm 되는 것을 선별하여 2016년 10월에 25일에 플라스틱 구근상자(40 × 60 × 25cm)에 15cm 간격으로 정식하였다. 선발 품종이 정원용임을 착안하여 정식한 구근은 노지에 월동이 되도록 하였으며 구근의 동사방지를 위하여 11월 5일에 짚으로 피복하였고, 5월말에 생육 및 개화 특성을 조사하였다. 이와 같이 2년동안 교배조합의 생육 및 개화 특성을 조사하고 현지 환경적응성을 검정한 결과 정원용 품종으로서 가치가 있다 판단하여 ‘Bright Yellow LiA’로 명명하여 국립종자원에 품종 출원을 하였다(Fig. 1).

http://static.apub.kr/journalsite/sites/kshs/2020-038-05/N0130380515/images/HST_38_05_15_F1.jpg
Fig. 1.

Pedigree diagram of Lilium Asiatic ‘Bright Yellow LiA’ as an F1 hybrid.

육성 품종인 ‘Bright Yellow LiA’와 대조품종인 ‘Tiny Bee’의 특성은 국립종자원의 나리 품종특성조사기준(KSVS, 2011)에 의거하여 첫 꽃이 피었을 때에 하였다. 개화 특성에서 화색은 영국산 Color Chart(Royal Horticultural Society, Fifth edition)를 이용하여 조사하였으며, 개화 시기는 첫 꽃이 개화한 날로 하였다. 화경은 꽃의 직경이며, 꽃의 길이는 꽃목에서 꽃잎 끝까지의 길이고 화수는 첫 꽃 개화 시 봉오리의 수까지 측정하였다. 생육 특성의 초장은 지제부부터 포엽이 형성된 줄기의 끝부분까지의 길이이고, 줄기색은 식물체 중간의 주된 색을 위주로 나누었으며, 엽수는 식물체 전체의 잎의 수이며, 엽장과 엽폭은 식물체의 하단에서 10번째 잎의 길이와 폭이다. 선호도는 2017년 품평회를 통하여 1(낮음)부터 5(높음)까지 5단계로 나누어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자가수정을 통하여 순계화된 노란색 계통의 생육 및 개화 특성 조사는 육성 품종의 특성 조사와 같이 실시하였다. 계통의 고정도를 측정하는 지표로 삼은 화색의 균일도는 계통별로 50개의 개체를 조사하여 화색의 변이 정도를 조사하였다. 개화소요일수는 파종일부터 개화일까지의 일수를 계산하였다. 세대별로 30개체를 조사하여 측정치를 SAS package(Statistical Analysis System, version 9.2, SAS Institute Inc.)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평균값과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계통의 균일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분산분석(ANOVA)을 실시하였다. 잡종강세 분석에서는 교배 조합의 우수 교배친 대비 잡종강세는(일대잡종조합 평균값 ‑ 모계와 부계 중 높은 값)/ 모계와 부계 중 높은 값×100 계산식을 이용하였다(Alam et al., 2004).

결과 및 고찰

육성 경위

정원용 아시아틱 나리 ‘Bright Yellow LiA’의 모계(L2-17-4)는 ‘Mona’와 ‘Butter Pixie’의 교배조합을 6차례 자가수정(S6)하여 선발하였고, 부계(L2-32-5)는 ‘Tiny Bee’를 7차례 자가수정(S7)하여 선발하였다. 매 세대마다 채종된 종자를 파종하여 생육 및 개화 특성 조사를 바탕으로 형질의 분산 및 균일성을 조사하였다. 이들은 2002년부터 2014년까지 자가수정을 실시하여 2년에 한차례씩 세대 진전시켰다. 2014년에 자가 수정한 계통 중에서 종자 형성이 잘 되면서 생육 및 개화 형질이 균일한 노랑색 모계 ‘L2-17(S6)’와 부계 ‘L2-32(S7)’를 선발하고 이들 잡종 1세대인 교배조합 ‘L5-14-41’(‘L2-17-4’בL2-32-5’)을 선발하였다(Fig. 1). 선발된 교배조합 ‘L5-14-41’(모계 ‘L2-17-4’과 부계 ‘L2-32-5’과 교잡)은 노지에서 생장의 균일성 검정 및 지역적응성을 시험을 통하여 안전성 검정을 완료하고 2017년 품평회를 거쳐 ‘Bright Yellow LiA’라고 명명하여 국립종자원에 정원용 나리 신품종으로 2020년에 등록되었다.

모·부본의 주요 특성

정원용 아시아틱나리 ‘Bright Yellow LiA’의 모계(L2-17-4)는 ‘Mona’와 ‘Butter Pixie’를 교배한 F1을 6차례 자가 수정하여 초장이 25.4cm이고 엽수는 24.7개이며 화색은 연한 노란색이며 화수는 3.1개이다. ‘Mona’와 ‘Butter Pixie’를 교배한 F1의 초장 62.7cm, 화수 5.4개에 비하여 초장과 화수가 현저히 감소하였으나, 이들의 균일도를 알 수 있는 분산은 자가수정이 진행될수록 감소하였다(Table 3 and Fig. 2). ‘Tiny Bee’를 7차례 자가수정한 부계(L2-32-5)의 초장, 엽수, 화색, 화수는 각각23.9cm, 20.1개, 노란색, 2.8개였다. 모계와 같이 자가 수정이 진행될수록 초장과 화수 및 화색의 분산이 감소하였다(Table 4 and Fig. 3). 나리 품종이 유전적으로 매우 잡박하여 형질의 고정이 쉽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었으나 자식 6-7세대에서 화색과 같은 질적 특성이 균일하게 나타나는 것을 보였다. 자식 세대를 진전할수록 형질의 분산이 적어져 특성이 대부분 고정되었다(Table 3).

http://static.apub.kr/journalsite/sites/kshs/2020-038-05/N0130380515/images/HST_38_05_15_F2.jpg
Fig. 2.

Flowering difference of the maternal line by preceding generations.

http://static.apub.kr/journalsite/sites/kshs/2020-038-05/N0130380515/images/HST_38_05_15_F3.jpg
Fig. 3.

Flowering difference of the paternal line by preceding generations.

정원용 아시아틱나리 일대잡종인 ‘Bright Yellow LiA’의 주요 특성

정원용 아시아틱 나리 일대잡종인 ‘Bright Yellow LiA’는 꽃잎 부위는 밝은 노란색이며 사발모양의 홑꽃으로 꽃잎에 약한 반점이 있고 색은 갈색이다. 식물체당 개화수가 4.8개로 중간 정도이며, 화경은 12.7cm이고 꽃잎의 길이는 8.2cm이었다. 꽃차례 형태는 총상꽃차례이고 개화는 상향이고, 향기는 없었다. 개화기는 10월 25일에 노지에 식재하였을 경우 5월 25일이었다(Table 1). 초장, 엽수, 엽장, 엽폭은 각각 39.2cm, 32.9개, 7.5cm, 1.5cm였다(Table 2). 지역에서의 내한성은 2년간의 노지재배로 검정하였으며 양친을 교배하였을 경우 협당 종자량이 90개 정도로 채종이 되어 종자번식이 가능하였다(Fig. 5). 이와 같이 화경이 작고 초장이 짧으며 줄기가 강건하여 관상 가치를 기준으로 기호도를 평가한 결과 4.7로 높게 나왔다.

Table 1.

Flowering characteristics of Lilium Asiatic 'Bright Yellow LiA' as an F1 hybridz

Cultivar Flower color Flowering time Flower diameter (cm) No. of flowers Outer petal length (cm) Preference y
Bright Yellow LiA Yellow (10C) May 25 12.7 ± 2.1x 4.8 ± 0.6 8.2 ± 1.2 4.7 ± 0.5
Tiny Bee (control) Yellow (3B) May 30 14.5 ± 1.8 4.3 ± 0.3 8.7 ± 1.7 4.1 ± 0.2

zThe bulb circumference was 16 cm and planted in the field on Oct. 25th.

yConsumer's preference 1 ‑ 5; poor:1, intermediate:3, excellent:5.

xMean ± SD of 30 plants.

Table 2.

Growth characteristics of Lilium Asiatic 'Bright Yellow LiA' as an F1 hybrid

Cultivar Plant height (cm) Stem color No. of leaves/plant Leaf length (cm) Leaf width (cm)
Bright Yellow LiA 39.2 ± 3.1z Red 32.9 ± 4.5 7.5 ± 1.3 1.5 ± 0.3
Tiny Bee (control) 43.4 ± 3.6 Green 30.8 ± 5.2 12.3 ± 1.0 1.6 ± 0.3

zMean ± SD of 30 plants.

Table 3.

Variance of plant height or flower number of the maternal line by preceding generations

Generation Plant height (cm) Variance No. of flowers/plant Variance Uniformity of flower color (%)
Mona x Butter Pixie (F1) 62.7 ± 7.1z 45.40 5.4 ± 1.2 5.43 35
S1 57.1 ± 6.4 41.31 5.0 ± 1.1 4.12 59
S2 51.4 ± 5.4 33.52 4.7 ± 0.8 3.45 73
S3 45.6 ± 4.3 26.19 4.2 ± 0.9 2.79 81
S4 37.3 ± 3.5 18.78 3.7 ± 0.7 2.10 90
S5 30.9 ± 2.8 10.43 3.3 ± 0.8 1.51 95
L2-17-4(S6) 25.4 ± 2.3 4.97 3.1 ± 0.5 0.85 96

zMean ± SD of 30 plants.

자식 계통 간 교잡으로 얻은 일대잡종인 ‘Bright Yellow LiA’의 잡종강세는 엽수 33.2%, 초장 53.5%, 화수 54.8%, 협당 채종량은 91.9%로 양친에 비하여 높은 잡종강세를 나타내었다(Tables 4, 5 and Fig. 4). 유전적으로 복잡한 구성을 갖는 화훼 작물을 자식에 의하여 동형접합체를 선발하고(Song and Bang, 2001; Song, 2005; Song et al., 2015) 이들간에 교잡에 의해 잡종강세 품종을 개발한 결과(Song, 2008; Acquaah, 2012; Song et al., 2019)와 같이, 나리에 있어서도 자식을 통해 계통을 선발하고 이를 이용한 교잡으로 목표 형질을 개량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able 4.

Variance of plant height or flower number of the paternal line by preceding generations

Generation Plant height (cm) Variance No. of flowers/plant Variance Uniformity of flower color (%)
Tiny Bee (F1) 41.5 ± 2.3z 1.36 4.8 ± 0.7 0.25 -
S1 39.9 ± 5.1 33.49 4.5 ± 1.5 3.32 31
S2 34.1 ± 4.6 20.11 4.1 ± 1.0 2.06 52
S3 31.3 ± 3.3 12.90 3.8 ± 0.8 1.12 79
S4 28.8 ± 3.7 7.88 3.4 ± 0.8 1.10 86
S5 26.4 ± 2.1 4.12 3.2 ± 0.8 0.82 90
S6 25.1 ± 2.5 3.35 3.1 ± 0.5 0.50 93
L2-32-5(S7) 23.9 ± 2.1 2.29 2.8 ± 0.3 0.39 99

zMean ± SD of 30 plants.

Table 5.

Heterosis of flowering, growth and seed ripening of the parents as selfed-lines

Line Flower color No. of flowers
/plant
Days to flowering Plant height
(cm)
No. of leaf
/plant
No. of seeds
/capsule
'Bright Yellow LiA'
L2-17-4(S6) x L2-32-5(S7)
Yellow (10C) 4.8 ± 0.6z 212 39.2 ± 3.1 32.9 ± 4.5 90.4 ± 25.1
L2-17-4(S6) Yellow (4C) 3.1 ± 0.5 197 25.4 ± 2.3 24.7 ± 3.8 47.1 ± 13.1
L2-32-5(S7) Yellow (2B) 2.8 ± 0.3 195 23.9 ± 2.1 20.1 ± 2.4 35.5 ± 9.5
Heterosis (%) 54.8 7.6 53.5 33.2 91.9

zMean ± SD of 30 plants.

http://static.apub.kr/journalsite/sites/kshs/2020-038-05/N0130380515/images/HST_38_05_15_F4.jpg
Fig. 4.

Flowering characteristics of the maternal (A) and paternal (B) line and its hybrid ‘Bright Yellow LiA’.

http://static.apub.kr/journalsite/sites/kshs/2020-038-05/N0130380515/images/HST_38_05_15_F5.jpg
Fig. 5.

Seed production and nursery process of the new hybrid ‘Bright Yellow LiA’. A: Crossing, B : Seed harvest, C : Sowing and germination, D : Nursery seedlings.

재배상 유의점

아시아틱나리 재배 시 구근을 화단에 재배할 경우 저온처리가 완료된 구근은 3월에 15cm 간격으로 식재하고 저온처리가 안된 구근은 10월에 식재하여 자연 저온처리가 되도록 한다. 10월에 식재하는 구근의 경우 12 ‑ 1월 사이 동해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지상부를 피복해야 할 필요가 있다. 주변 식물로 인하여 빛이 차단되는 경우 초장이 길어지고 초세가 약해지므로 햇빛이 잘 드는 장소에 식재하도록 한다. 병해충 관리 방법은 여름철 고온 다습조건에서 잎마름병 발생이 우려되므로 고시된 약제로 미리 방제해 주는 것이 좋다. 진딧물은 배양토 조제 시 고시된 입제를 함께 혼합하면 예방이 가능하다.

유용성

정원용 아시아틱나리 ‘Bright Yellow LiA’는 종자 산업법에 따라 2018년 국립종자원에 신품종보호출원을 하여 2020년 1월에 품종보호등록(품종보호 등록 번호 : 제 7992호)이 완료되었다. 국내 보급을 위하여 종자 및 구근을 증식하고 있으며 아시아틱나리 ‘Bright Yellow LiA’에 대한 통상 실시권 및 종묘 분양은 한국농수산대학에서 가능하다.

Acknowledgements

본 연구는 농림축산식품부의 재원으로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의 Golden Seed 프로젝트사업(원예종자사업단, 213007-05-4-SBN10)의 지원에 의해 이루어진 것임.

References

1
Acquaah G (2012) Principles of plant genetics and breeding, 2nd ed.Wiley-Blackwell, Chichester, UK. doi:10.1002/9781118313718
10.1002/9781118313718
2
Alam MF, Khan MR, Nuruzzaman M, Parvez S, Swaraz AM, Alam I, Ahsan N (2004) Genetic basis of heterosis and inbreeding depression in rice (Oryza sativa L.). J Zhejiang Univ Sci A 5:406-411. doi:10.1631/jzus.2004.0406
10.1631/jzus.2004.040614994428
3
Islam MM, Yesmin R, Jung MJ, Kim HY, Kim CK, Lim KB (2020) Investigation of the morphological and cytogenetic variations of an intraspecific Asiatic lily hybrid using 5S and 18S rDNA probes. Hortic Environ Biotechnol 61:339-346. doi:10.1007/s13580-019-00216-7
10.1007/s13580-019-00216-7
4
Kang YI, Rhee JH, Cho HR, Kim MS, Park SK, Shin HK, Joung HY, Song JS, Lim JH (2013) An FA interspecific hybrid lily 'Cream Star' with ivory colored petals for cut flower. Flower Res J 21:141-145. doi:10.11623/frj.2013.21.3.28
10.11623/frj.2013.21.3.28
5
Korea Seed, Variety Service (KSVS) (2011) The guidelines of characteristics for application and registration of new varieties in flower. KSVS, Gimcheon, Korea
6
Lee JJ, Choi SR, Choi CH, Cheong DC, Song YJ, Oh NK (2013) Breeding of Asiatic hybrid lily 'Orange Song' for bed flower. Flower Res J 21:137-140. doi:10.11623/frj.2013.21.3.27
10.11623/frj.2013.21.3.27
7
Lee WB (1989) A systematic study on genus Lilium in Korea. PhD Diss, Korea Univ, Seoul, Korea
8
Leslie AC (1982) The international lily register including 10 supplements (1982-1992) The Royal Horticultural Society, London, UK
9
Natenapit J, Takeda S, Narumi T, Fukai S (2010) Crossing of allotriploid LLO hybrid and Asiatic lilies (Lilium). Hortic Environ Biotechnol 51:426-430
10
Rhee HK, Cho HR, Shin HK, Lim JH, Kim MS (2010) An Asiatic hybrid lily 'Yeri' with spotted deep purple petals. Flower Res J 18:216-219
11
Song CY (2005) Selection of pure lines with various growth and flowering characteristics in Primula polyantha. Korean J Hortic Sci Technol 23:1-7
12
Song CY (2008) Lilium longiflorum 'Charm' as a F1 hybrid for pot plant. Flower Res J 16:304-308
13
Song CY, Bang CS (2001) Correlation and combining ability of plant height and characters related to flowering of F1 hybrids by diallel cross in Petunia hybrida. J Kor Soc Hortic Sci 42:601-605
14
Song CY, Moon JA, Park BM (2019) Breeding of Lilium longiflorum 'White Eve' as an F1 hybrid for pot plant. Flower Res J 27:68-72. doi:10.11623/frj.2019.27.1.10
10.11623/frj.2019.27.1.10
15
Song CY, Moon JY, Oh DG (2015) Development of selfed-lines from pot Gerbera varieties and performance of hybrids. Korean J Breed Sci 47:11-19. doi:10.9787/KJBS.2015.47.1.011
10.9787/KJBS.2015.47.1.011
페이지 상단으로 이동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