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earch Article

Hort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31 August 2020. 419-428
https://doi.org/10.7235/HORT.20200040

ABSTRACT


MAIN

  • 서 언

  • 재료 및 방법

  •   실험 재료

  •   생장조절제 처리 및 생장 특성 조사

  •   BA 처리에 따른 개화 특성 조사

  • 결과 및 고찰

  •   생장조절제 처리에 따른 게발선인장 생장 특성

  •   BA 처리에 따른 개화품질

서 언

게발선인장은 선인장과에 속하는 다화성 선인장으로남아메리카 브라질 동부 해안이 원산지이며, 적색, 분홍색, 흰색 등 화색이 다양하고 꽃이 화려하여 유럽, 미주 및 국내에서도 소비가 많은 분화류 중 하나이다. 게발선인장은 크게 엽상경(잎 모양 줄기, phylloclade) 끝이 뾰족한 Thanksgiving cactus(Schlumbergera truncata)와 끝이 둥근 Christmas cactus(S. bridgesii)로 구별하고 있으나, 최근에는 S. truncataS. bridgesii의 종간잡종이 많이 육성되어 10 ‑ 12월에 개화하는 형태를 통틀어 게발선인장이라고 부른다. 이 밖에도 3월부터 5월에 주로 꽃이 피는 Easter cactus(Rhipsalidopsis gaertnerii)가 있다.

게발선인장은 단일식물로서 일장으로 개화시기를 조절하며 국내에서는 고온기인 7 ‑ 8월을 제외하고 연중 유통되고 있으며 10 ‑ 11월과 이듬해 3 ‑ 4월에 집중 출하되고 있다(KAFTC Statistics, 2018). 게발선인장은 엽상경 마디 단위로 생장하며 보통 3 ‑ 5마디의 엽상경 선단부에서 꽃이 핀다. 분화의 상품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분지수와 엽상경 선단부에 착화된 화뢰수를 많게 재배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영양생장 기간에 엽상경수를 증가시키는 것과 개화유도기간 중 착화율을 높이는 재배기술이 요구된다.

Cytokinin류의 생장조절제는 세포 분열, 휴면 타파, 엽록소 발달 촉진, 노화 방지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많은 화훼류에서 이를 이용한 분지수 증가나 개화 조절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Cytokinin 중에서 benzyl adenine(BA)은 포인세티아, 산호수, 삼각주 선인장, 버베나, Miltoniopsis orchid, Zygopetalum의 측지 발생 촉진 및 측지수 증가에 효과적이라고 알려져 있다(Shimomura and Fujihara, 1980; Semeniuk and Griesbach, 1985; Svenson, 1991; Lee, 2005; Blanchard and Runkle, 2010; Nambiar et al., 2012; Newton and Runkle, 2015). 또한 BA는 온시디움, 호접란의 화경수 증가 및 개화 촉진 효과가 있으며(Lee et al., 1999; Blanchard and Runkle, 2008), 유스토마의 에틸렌 생성을 억제시켜 절화수명 연장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Karimi and Asil, 2010). 한편, gibberellic acid(GA)는 신초 및 뿌리의 신장 효과뿐만 아니라 둥글레의 휴면 타파와 제비종자꽃 및 자작나무의 종자발아에도 효과적이며, 파피오페딜럼의 개화 촉진에도 관여한다고 알려져 있다(Choi et al., 2003; Miguel et al., 2006; Tsegay and Andargie, 2008; Rhie et al., 2014; Ryu et al., 2017; Kwak et al., 2018; Mir et al., 2018). 생장조절제는 작물에 따라 단용 또는 혼용 효과가 다르게 나타나기도 하는데, 라넌큘러스의 경우 BA와 GA3의 혼용처리 시 줄기와 꽃의 크기가 커졌지만 철쭉은 BA 단용처리와 GA3와의 혼용처리 간에 신초 증가 효과는 차이가 없었다(Bell et al., 1997; Kwak et al., 2018).

따라서 본 연구는 생장조절제 BA와 GA3 처리가 게발선인장 국내 육성 품종의 분지력 및 개화 품질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재료 및 방법

실험 재료

본 실험은 경기도농업기술원에서 육성한 게발선인장(Schlumbergera truncata) ‘오렌지캔들(Orange Candle)’, ‘핑크듀(Pink Dew)’, ‘레드로망(Red Roman)’, ‘스노우퀸(Snow Queen)’ 등 4품종을 대상으로 선인장다육식물연구소(경기도 고양시)에서 2017년부터 2018년까지 수행하였다.

생장조절제 처리 및 생장 특성 조사

2017년 1월 4일에 피트모스와 펄라이트 혼합상토(Sunshine Mix #4)를 이용하여 엽상경을 12cm 플라스틱 화분에 6개씩 삽목 정식하였고 6월 29일 엽상경을 2마디 남기고 적심하였으며, 발근 후부터 7월 31일까지 선인장표준양액(썬탑, ㈜코스팜) 1/2배액을 7 ‑ 10일 간격으로 관주하였다.

엽상경이 삽수를 포함하여 3마디 정도 자랐을 때 7월 3일에 BA 0.3%(황금시루, 우리산업)와 GA3 3.1% 수용제(지베렐린수용제, 동부한농)를 이용하여 BA 100, 200mg·L-1과 GA3 100, 200mg·L-1를 단용 또는 혼용하여 Tween 20을 첨가한 후 화분당 15mL씩 1회 엽면살포하였다. 공시식물은 자연 장일조건에서 재배하였고 화아분화를 유도하기 위하여 9월 4일부터 9월 31일까지 17:00 ‑ 08:00까지 검은 폴리에틸렌 필름으로 피복하였다. 11월 16일 엽상경 발생수, 초장, 분지수, 주당 전체 엽상경수, 엽상경 길이, 엽상경 폭을 조사하였다.

이 실험의 결과, BA의 농도가 높을수록 분지수는 증가하였으나 엽상경이 짧아져 상품성이 떨어지는 경향이 나타나 BA 농도를 낮추어 2차로 재시험하였다. 2차 시험은 2018년 1월 23일에 삽목하여 1년차와 동일하게 관리하였다. 2018년 4월 30일 엽상경이 삽수를 포함하여 2마디 정도 자랐을 때 BA를 0, 50, 75, 100mg·L-1의 농도로 화분당 5mL씩 1회 엽면살포하였다. 9월 20일부터 10월 31일까지 단일처리 후 11월 19일에 생장 특성을 조사하였다.

BA 처리에 따른 개화 특성 조사

2017년 1월 4일에 피트모스와 펄라이트 혼합상토(Sunshine Mix #4)로 조성된 12cm 화분에 엽상경을 6개씩 삽목 정식하였고, 7월 10일 엽상경을 2마디 남기고 적심하였으며, 발근 후부터 7월 31일까지 선인장 표준양액을 7 ‑ 10일 간격으로 관주하였다.

9월 4일부터 9월 31일까지 17:00 ‑ 08:00까지 암막 커튼을 이용하여 단일처리를 실시하였다. 단일 개시 11일후에 0, 50, 100, 150, 200, 300mg·L-1의 BA 수용액을 화분당 10mL씩 1회 엽면살포하였다. 11월 16일 착화수, 꽃의 길이, 화폭, 개화시 등을 조사하였다.

실험구 배치는 완전임의배치로 30주씩 3반복으로 하였다. 통계분석은 SAS 프로그램(SAS 9.1, SAS Institute Inc., USA)을 이용하여 던컨 다중검정(5%)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및 고찰

생장조절제 처리에 따른 게발선인장 생장 특성

생장조절제가 게발선인장의 새로운 엽상경의 발생에 미치는 효과는 Fig. 1과 같다. 무처리구에서는 엽상경 선단에서 새로운 엽상경이 1 ‑ 2개 발생하였으며, BA와 GA3를 살포한 모든 시험구에서 엽상경수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오렌지캔들’과 ‘핑크듀’의 엽상경수는 BA 100mg·L-1 단용 처리구에서 무처리구 1.7개에 비해 각각 3.6개와 4.1개로 가장 많이 발생하였고, ‘레드로망’과 ‘스노우퀸’은 BA 200mg·L-1 단용 처리구에서 각각 4.2개와 3.3개로 가장 많이 발생하였다. 품종에 따라 효과적인 농도가 다르게 나타난 결과는 ‘오렌지캔들’과 ‘핑크듀’ 품종이 ‘레드로망’과 ‘스노우퀸’에 비해 분지력이 우수한 품종 자체의 특성을 가지고 있어 더 낮은 농도의 생장조절제에도 반응한 것으로 판단된다.

http://static.apub.kr/journalsite/sites/kshs/2020-038-04/N0130380401/images/HST_38_04_01_F1.jpg
Fig. 1.

Number of new phylloclades per phylloclade after BA and GA3 application in Schlumbergera truncata. Letters above the columns indicate significant differences at p ≤ 0.05 (Duncan’s multiple range test).

‘오렌지캔들’과 ‘핑크듀’는 생장조절제를 처리하였을 때 초장이 짧아지는 경향을 보였지만 ‘레드로망’과 ‘스노우퀸’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Table 1, Fig. 2). 전반적으로 BA 단용 처리구에서 분지수와 전체 엽상경수가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GA3와의 혼용 처리구보다 분지력 향상에 효과적이었다. BA 100mg·L-1을 단용으로 살포하였을 때 ‘핑크듀’의 전체 엽상경수는 무처리구 34.2개보다 46.8개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스노우퀸’ 역시 22.5개에서 34.9개로 증가하였다. 분지수도 ‘핑크듀’는 무처리구 16.9개에 비해 33.2개로 증가하였으며 ‘스노우퀸’은 11.0개에 비해 23.5개로 증가하였다. ‘오렌지캔들’ 역시 BA 100mg·L-1 처리에서 분지수와 전체 엽상경수가 각각 38.9개와 56.9개로 가장 많았으나, 200mg·L-1에서는 오히려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위의 결과는 Easter cactus (R. gaertnerii)의 경우 BA 100mg·L-1에서 분지수 증가에 효과적이라고 한 보고와도 유사하였다(Boyle, 1992). 반면 ‘레드로망’은 BA 200mg·L-1 처리구에서 분지수와 전체 엽상경수가 각각 31.8개와 40.9개로 가장 많았다.

Table 1.

Effects of BA and GA3 on growth characteristics of vegetative organs in Schlumbergera truncata

Cultivar Treatment
(mg∙L-1)
Plant height
(cm)
No. of branches
/plant
No. of phylloclades
/plant
Phylloclade
length (cm)
Phylloclade
width (cm)
Orange Candle Control 12.1 az 23.4 b 39.1 b 2.5 a 1.7 a
BA 100 10.6 ab 38.9 a 56.9 a 2.1 b 1.4 b
BA 200 11.2 ab 31.8 ab 52.3 ab 2.1 b 1.4 b
BA 100 + GA3 100 10.2 b 34.7 ab 52.8 ab 2.3 ab 1.1 cd
BA 100 + GA3 200 10.6 ab 31.8 ab 52.5 ab 2.6 a 1.0 d
BA 200 + GA3 100 10.4 b 37.1 a 53.0 ab 2.3 ab 1.1 cd
BA 200 + GA3 200 10.5 b 30.6 ab 45.5 b 2.7 a 1.2 bc
Pink Dew Control 11.7 a 16.9 b 34.2 c 2.3 a 1.6 a
BA 100 9.0 b 33.2 a 46.8 a 1.8 b 1.5 a
BA 200 9.8 b 35.4 a 48.4 a 1.8 b 1.3 ab
BA 100 + GA3 100 10.1 b 24.4 ab 36.0 b 2.1 ab 1.0 bc
BA 100 + GA3 200 10.1 b 31.3 a 38.9 b 2.1 ab 0.8 c
BA 200 + GA3 100 10.0 b 29.3 a 42.6 ab 1.7 b 0.9 c
BA 200 + GA3 200 9.7 b 28.4 a 41.3 ab 1.9 b 0.8 c
Red Roman Control 12.0 a 9.7 c 22.2 c 3.1 a 1.8 a
BA 100 12.2 a 25.4 ab 37.0 ab 2.4 ab 1.4 b
BA 200 10.5 a 31.8 a 40.9 a 2.0 b 1.2 bc
BA 100 + GA3 100 11.4 a 17.0 bc 27.4 bc 2.4 ab 0.9 cd
BA 100 + GA3 200 11.9 a 16.0 bc 24.4 bc 2.3 ab 0.8 d
BA 200 + GA3 100 11.4 a 23.4 ab 33.1 abc 2.2 b 0.9 cd
BA 200 + GA3 200 11.4 a 22.3 ab 31.4 abc 2.2 b 0.9 cd
Snow Queen Control 11.2 a 11.0 b 22.5 b 2.3 ab 1.6 a
BA 100 11.4 a 23.5 a 34.9 a 2.2 ab 1.5 a
BA 200 11.2 a 22.7 a 32.9 a 2.0 b 1.4 ab
BA 100 + GA3 100 11.5 a 16.9 ab 27.6 ab 2.4 ab 1.1 bc
BA 100 + GA3 200 12.2 a 17.2 ab 26.6 ab 2.7 a 1.0 c
BA 200 + GA3 100 12.0 a 18.1 ab 27.9 ab 2.4 ab 1.0 c
BA 200 + GA3 200 12.2 a 17.4 ab 28.8 ab 2.5 ab 1.0 c
Significance
Cultivar (A) ** ** ** ** **
PGR (B) NS ** ** ** **
A × B NS NS NS NS NS

zMean separation within columns for each cultivar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p ≤ 0.05).

http://static.apub.kr/journalsite/sites/kshs/2020-038-04/N0130380401/images/HST_38_04_01_F2.jpg
Fig. 2.

Influence of BA and GA3 on new phylloclade development (arrow) in Schlumbergera truncata. A, ‘Orange Candle’; B, ‘Pink Dew’; C, ‘Red Roman’; D, ‘Snow Queen’; a, control; b, BA 100; c, BA 200; d, BA 100 + GA3 100; e, BA 100 + GA3 200; f, BA 200 + GA3 100; g, BA 200 + GA3 200 (mg·L-1).

본 시험에서는 생장조절제 단용처리가 혼용처리보다 분지수와 엽상경수 증가에 더 효과적으로 나타나 GA3가 오히려 BA의 분지를 억제시킨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는 Chamaecerus, Mammilaria, Opuntia는 GA3나 BA의 단용처리에서 혼용처리보다 신초수가 증가하였다고 한 Sanderson et al.(1986)DoritaenopsisPhalaenopsis도 BA 단용처리에서 개화가 촉진되었다고 한 Blanchard and Runkle(2008)의 결과와 유사하였다. 반면 와룡(Ericocereus tortuosus)과 소데가우라 선인장(E. jusbertii)은 GA3 50 ‑ 100mg·L-1과 BA 500 ‑ 1000mg·L-1를 혼용 살포했을 때 측지와 자구가 많이 발생하였고, S. truncata ‘White Christmas’의 경우 BA와 GA3 혼용 살포 시 엽상경수 증가에 효과적이었으며, 백합 선도유지, 춘란 꽃눈 형성에도 GA 처리에 의해 BA의 효과가 상승적으로 나타났다고 한 결과와는 다른 경향을 보였다(Ho et al., 1985; Park et al., 2001; Choi et al., 2003; Kim et al., 2015). 반면 Bell et al.(1997)은 아잘레아는 BA3와 GA 단용 및 혼용 모든 생장조절제 처리구에서 신초수의 차이가 없었다고 한 바 있다. Yoon et al.(2018), (2019)은 BA가 식물의 종, 품종, 처리시기에 따라 비비추의 crown bud 유도 효과가 달랐고 Rünger(1984)ㅌ와 BA 처리 시 온도에 따라 Schlumbergera의 엽상경수 증가 효과가 달랐다고 한 바와 같이 식물의 종류, 품종, 시기, 농도, 온도 등에 따라 생장조절제의 효과가 다르게 나타난 것으로 판단되었다.

한편, BA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엽상경의 길이와 폭은 짧아지는 경향이었고, GA3를 혼용 살포하였을 때는 엽상경의 폭이 짧아지고 품종에 따라서는 엽상경의 길이가 오히려 길어지기도 하였다. 이 경우 역시 BA 처리에 따른 엽상경 신장 억제 효과가 GA3 처리로 상쇄되는 것으로 보인다. ‘오렌지캔들’은 BA 단용과 GA3 100mg·L-1와의 혼용 처리구에서는 엽상경의 길이와 폭이 짧아졌다(Table 1). 특히 GA3 혼용처리에서 엽상경의 폭이 1.7cm에서 1.0 ‑ 1.2cm로 현저하게 짧아졌다. ‘핑크듀’, ‘레드로망’도 모든 생장조절제 처리에서 엽상경의 길이와 폭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스노우퀸’은 GA3 처리구에서 엽상경이 길어지고 폭이 짧아지는 경향이 나타났다. 이 결과는 산호수에 BA를 살포하였을 때 분지수는 증가하였지만 엽면적이 감소하고 분지장이 짧아졌다고 한 Lee et al.(2006)과 GA3의 살포로 진달래의 줄기 직경이 길어졌다고 한 Bell et al.(1997)의 보고와도 유사하였다.

또한 개화 유도를 위한 단일처리 후 GA3이 첨가된 모든 처리구에서는 개화가 지연되거나 개화율이 낮았는데 GA3 농도가 높아질수록 춘란의 개화가 지연되었다는 Park et al.(2001)의 보고와도 같은 결과를 보였다(Fig. 3). 반면 라넌큘러스에 대한 GA3 단용처리와 BA의 혼용처리로 개화소요일수가 짧아졌다는 Gwak et al.(2018)의 연구결과와는 다른 경향을 보였다.

http://static.apub.kr/journalsite/sites/kshs/2020-038-04/N0130380401/images/HST_38_04_01_F3.jpg
Fig. 3.

Influence of BA and GA3 on flowering of Schlumbergera truncata ‘Orange Candle’. a, control; b, BA 100; c, BA 200; d, BA 100 + GA3 100; e, BA 100 + GA3 200; f, BA 200 + GA3 100; g, BA 200 + GA3 200 (mg·L-1).

위의 결과로 GA는 게발선인장의 엽상경을 좁고 길어지게 할 뿐만 아니라 개화율을 낮추는 결과가 나타나 분화상품으로 이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고 판단되었다. BA 단용 살포가 엽상경수와 분지수 증가에는 효과적이었지만 엽상경이 짧아지는 경향이 나타나 분화품질이 유지되기 위한 BA의 적정 농도를 선발하기 위해 농도를 낮추어 2차 실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초장은 1차 실험 결과와 동일하게 BA의 농도에 따른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며 BA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분지수와 엽상경수는 증가하였다(Table 2). ‘레드로망’, ‘핑크듀’, ‘오렌지캔들’은 BA 50mg·L-1의 농도에서 분지수와 엽상경수가 20 ‑ 33% 증가하였고 50 ‑ 100mg·L-1 농도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엽상경의 길이는 ‘핑크듀’에서만 약간 감소하였지만 큰 차이는 없었다. ‘스노우퀸’은 다른 품종보다 높은 농도인 75mg·L-1 이상 처리구에서 분지수와 엽상경수가 무처리구 10.5개, 21.3개에 비해 각각 14.2개, 28.0개로 증가하였으며 엽상경의 길이나 폭은 감소하지 않았다. Boyle(1992)은 Easter cactus (R. gaertnerii) ‘Crimson Giant’의 경우 엽상경이 2마디 자랐을 때 BA 50mg·L-1를 살포함으로써 엽상경수 증가에 효과적이었으며 어린 발근묘나 엽상경이 3 ‑ 5마디 자랐을 때는 효과가 적었다고 보고한 바 있다. 따라서 게발선인장의 분지력을 향상시키고 상품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영양생장기에 BA 50 ‑ 75mg·L-1의 농도로 단용 살포하는 것이 효과적으로 판단되었다. 다만, 이 실험에서는 엽상경이 2마디일 때 BA를 살포하였는데, 생장조절제 처리시기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Table 2.

Effects of BA concentration on growth characteristics of vegetative organs in Schlumbergera truncata

Cultivar BA Conc.
(mg∙L-1)
Plant
height (cm)
No. of branches
/plant
No. of phylloclades
/plant
Phylloclade
length (cm)
Phylloclade
width (cm)
Orange Candle 0 10.8 az 16.0 b 30.4 b 3.2 a 2.1 a
50 11.1 a 20.8 a 37.4 a 3.0 a 2.0 a
75 11.2 a 21.4 a 39.5 a 3.0 a 1.9 a
100 10.9 a 21.8 a 38.5 a 3.0 a 1.9 a
Pink Dew 0 11.2 a 18.7 b 33.2 b 2.9 a 1.8 a
50 11.6 a 23.9 a 39.8 a 2.8 ab 1.8 a
75 11.3 a 25.7 a 44.5 a 2.7 b 1.8 a
100 11.3 a 24.1 a 41.6 a 2.8 ab 1.8 a
Red Roman 0 12.2 a 9.0 b 20.0 b 3.3 a 1.8 a
50 11.9 a 13.6 a 26.6 a 3.1 a 1.7 a
75 11.8 a 13.7 a 27.2 a 3.0 a 1.7 a
100 11.5 a 14.8 a 28.1 a 3.1 a 1.6 a
Snow Queen 0 9.9 a 10.5 c 21.3 b 2.7 a 1.6 a
50 9.8 a 12.1 bc 23.6 b 2.6 a 1.6 a
75 10.0 a 14.2 a 28.0 a 2.6 a 1.6 a
100 10.0 a 13.1 ab 27.2 a 2.6 a 1.7 a
Significance
Cultivar (A) ** ** ** ** **
BA Conc. (B) NS ** ** ** NS
A × B NS * NS * NS

zMean separation within columns for each cultivar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p ≤ 0.05).

BA 처리에 따른 개화품질

게발선인장의 꽃은 엽상경 선단에 달리며 일반적으로 엽상경마다 1 ‑ 2개의 꽃이 피게 된다. 착화수를 증가시키기 위해 단일처리 11일후 BA를 농도별로 살포한 결과, BA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꽃눈 형성은 증가하였으나 일부 품종에서 꽃의 길이와 화폭이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다(Table 3, Fig. 4). BA 100mg·L-1 이상의 농도에서는 농도가 증가할수록 엽상경 선단에 착화된 화뢰수가 증가하였다. ‘레드로망’과 ‘오렌지캔들’은 BA 100mg·L-1 처리구에서 무처리구 1.1개에 비해 각각 2.2, 2.9개로 착뢰수가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100 ‑ 300mg·L-1에서는 농도 간의 차이가 없었다. 반면 BA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꽃의 길이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BA 300mg·L-1에서는 꽃길이가 유의하게 짧아졌고 ‘레드로망’은 100mg·L-1 이상의 농도에서부터 화폭이 짧아지는 경향이 나타났다. ‘핑크듀’도 BA 농도가 높아질수록 착뢰수가 증가하였으며 BA 200mg·L-1 처리구에서 무처리구 1.03개에 비해 1.37개로 착뢰수가 33% 증가하였고 꽃의 길이와 화폭은 BA 농도 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덴드로비움의 경우 6-BAP를 살포하였을 때 착화수는 증가하였지만 화폭의 변화는 보이지 않았다고 한 Nambiar et al.(2012)의 보고와 일치하였다. ‘스노우퀸’은 BA 150mg·L-1 처리구에서 무처리에 비해서 착뢰수가 41% 증가하였으며 화폭은 BA 농도 간의 차이가 없었지만, 꽃의 길이는 BA 농도가 높아질수록 짧아지는 경향이 나타났다. 이 결과는 BA 100mg·L-1 살포 시 S. truncata ‘White Christmas’의 꽃수를 40% 증가시켰다고 한 Heins et al.(1981)와 BA 살포로 Eater cactus의 화폭이 짧아지고 낙화율이 높아졌다고 한 Boyle et al.(1988)의 보고와 유사하였다.

Table 3.

Effects of BA concentration on flowering characteristics in Schlumbergera truncata

Cultivar BA Conc. (mg∙L-1) Phylloclade
length (cm)
No. of flower buds
/phylloclade
Flower
length (cm)
Flower
width (cm)
Days to flowering
Orange Candle Control 2.9 az 1.1 b 6.4 a 2.9 ab 75 a
BA 50 2.8 a 1.7 ab 6.4 a 3.2 a 59 b
BA 100 2.9 a 2.2 a 6.4 a 2.7 bc 58 b
BA 150 2.7 a 2.2 a 6.2 a 2.5 c 61 b
BA 200 2.7 a 2.3 a 6.2 a 2.6 bc 62 b
BA 300 2.7 a 2.3 a 5.7 b 2.9 ab 62 b
Pink Dew Control 2.8 a 1.03 c 6.6 a 3.4 a 64 a
BA 50 2.8 a 1.17 c 6.8 a 3.4 a 54 b
BA 100 2.7 a 1.17 c 6.9 a 3.5 a 53 b
BA 150 2.7 a 1.20 bc 6.5 a 3.5 a 54 b
BA 200 2.9 a 1.37 ab 6.9 a 3.4 a 55 b
BA 300 2.7 a 1.43 a 6.7 a 3.4 a 52 b
Red Roman Control 3.4 a 1.0 c 7.4 a 4.3 a 61 a
BA 50 3.6 a 1.8 b 7.2 ab 4.1 a 53 b
BA 100 3.5 a 2.9 a 7.0 ab 3.5 b 50 b
BA 150 3.4 a 3.0 a 6.9 ab 3.4 b 52 b
BA 200 3.6 a 3.1 a 6.9 ab 3.5 b 51 b
BA 300 3.6 a 3.1 a 6.5 b 3.3 b 51 b
Snow Queen Control 3.0 a 1.2 c 7.3 a 3.2 a 58 a
BA 50 3.2 a 1.4 bc 7.0 ab 3.3 a 55 a
BA 100 3.1 a 1.6 bc 7.0 ab 3.3 a 56 a
BA 150 2.9 a 1.7 b 6.7 bc 3.2 a 54 a
BA 200 3.1 a 2.2 a 6.6 c 3.0 a 55 a
BA 300 3.2 a 2.2 a 6.5 c 3.2 a 55 a
Significance
Cultivar (A) NS ** ** ** **
BA Conc. (B) NS ** ** ** **
A × B NS ** ** NS NS

zMean separation within columns for each cultivar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p ≤ 0.05).

http://static.apub.kr/journalsite/sites/kshs/2020-038-04/N0130380401/images/HST_38_04_01_F4.jpg
Fig. 4.

Influence of BA on flower bud formation in Schlumbergera truncata. A, ‘Orange Candle’; B, ‘Pink Dew’; C, ‘Red Roman’; D, ‘Snow Queen’; a, control; b, BA 50; c, BA 100; d, BA 150; e, BA 200; f, BA 300 (mg·L-1).

한편 BA를 살포하였을 때 모든 품종에서 개화소요일수가 짧아지는 경향이 나타났는데 이는 BA가 팔레놉시스와 온시디움의 개화를 촉진하고 화경수를 증가시켰다고 한 An et al.(2017)Lee et al.(1999)의 보고와 일치하였다. 하지만, Easter cactus의 경우 BA가 꽃수는 증가하였지만 개화를 2 ‑ 3일 지연시켰다는 Boyle(1995)의 결과와는 다른 결과가 나타났다. 이는 개화시기에 미치는 생장조절제의 효과 역시 종 및 품종에 따라 차이가 있음을 보였다.

이 연구의 결과, 게발선인장의 개화 품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단일기간에 BA 100 ‑ 200mg·L-1의 농도로 살포하는 것이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Acknowledgements

본 연구는 농촌진흥청 지역특화작목기술개발과제의 지원에 의해 수행되었음(No. PJ012635).

References

1
An HR, Yun DL, Park PH, Baek YS (2017) Effects of benzyladenine on flowering of Phalaenopsis orchid. Hortic Sci Technol 36(suppl I):161 (Abstr)
2
Bell ML, Larson RA, Bailey DA (1997) Vegetative growth response of florist azaleas to dikegulac, GA4+7, and 6-benzylamino purine. HortScience 32:690-693. doi:10.21273/HORTSCI.32.4.690
10.21273/HORTSCI.32.4.690
3
Blanchard MG, Runkle ES (2008) Benzyladenine promotes flowering in Doritaenopsis and Phalaenipsis orchids. J Plant Growth Regul 27:141. doi:10.1007/s00344-008-9040-0
10.1007/s00344-008-9040-0
4
Blanchard MG, Runkle ES (2010) Effects of emerging shoot size, temperature, and benzyladenine on growth and flowering of Zygopetalum redvale 'Fire Kiss'. Acta Hortic 878:303-309. doi:10.17660/ActaHortic.2010.878.38
10.17660/ActaHortic.2010.878.38
5
Boyle TH (1992) Modification of plant architecture in 'Crimson Giant' Easter cactus with benzyladenine. J Am Soc Hortic Sci 117:584-589. doi:10.21273/JASHS.117.4.584
10.21273/JASHS.117.4.584
6
Boyle TH (1995) BA Influences flowering and dry matter partitioning in shoots of 'Crimson Giant' Easter cactus. HortScience 30:289-291. doi:10.21273/HORTSCI.30.2.289
10.21273/HORTSCI.30.2.289
7
Boyle TH, Jacques DJ, Stimart DP (1988) Influence of photoperiod and growth regulators on flowering of Rhipsalidopsis gaertneri. J Am Soc Hortic Sci 113:75-78
8
Choi IJ, Kim KJ, Jang JH, Lim JW (2003) Growth increasing by using GA3 and BA in genus Eriocereus. J Kor Soc Hortic Sci 44:358-361
9
Heins RD, Armitage AM, Carlson WH (1981) Influence of temperature, water stress and BA on vegetative and reproductive growth of Schlumbergera truncata. HortScience 16:679-680
10
Ho YS, Sanderson KC, Williams JC (1985) Effect of chemicals and photoperiod on the growth and flowering of Thanksgiving cactus. J Am Soc Hortic Sci 110:658-662
11
Karimi M, Asil MH (2010) Role of benzyladenine on vase life and quality of cut Lsianthus flowers. Hortic Environ Biotechnol 51:284-287
12
Kim JH, Kim MS, Hong LB, Yang HJ, Suk JK (2015) Effect of GA and BA pre-treatment on freshness maintenance of cut Lilium Oriental hybrid 'Siberia'. Korean J Hortic Sci Technol 33(suppl II):164 (Abstr)
13
Korea Agro-Fisheries & Food Trade Corporation (KAFTC) Statistics (2018) http://www.at.or.kr/fm/auctionprice/fmko331000/list.action
14
Kwak HG, Lee YR, Choi YJ, Kang YI (2018) Effect of gibberellic acid plus benzyladenine on growth characteristics of Ranunculus cultivars. Hortic Sci Technol 36(suppl I):157 (Abstr)
15
Kwak HG, Lee YR, Choi YJ, Lee SY, Kang YI (2018) Effect of GA3 and BA on plant growth of Ranunculus cultivars. Flower Res J 26:179-186. doi:10.11623/frj.2018.26.4.02
10.11623/frj.2018.26.4.02
16
Lee CH (2005) The use of 6-Benzylaminopurine for lateral branching of Ardisia pusilla. J Kor Soc Hortic Sci 46:396-401
17
Lee CH, Kwon OK, Lee KS (2006) Pot plants production of multiple-branched Ardisia pusilla as influenced by 6-benzylaminopurine related to spray time after pinching. Hortic Environ Biotechnol 47:203-210
18
Lee JS, Park BM, Park HB (1999) Effect of GA3, BA, zeatin and kinetin on flowering of Oncidium 'Aloha'. Korean J Hortic Sci Technol 17:134-135
19
Miguel T, Fang J, Sakai WS (2006) Gibberellic acid induced flowering of paphiopedilum (Macabrex glanduliferum). Acta Hortic 766:279-282. doi:10.17660/ActaHortic.2008.766.36
10.17660/ActaHortic.2008.766.36
20
Mir NA, Masoodi TH, Sofi PA, Mir SA, Malik AR (2018) Determination of effect stratification duration and GA3 on germination and growth of Betula utilis D. Don under temperate conditions of Kashmir Himalayas. Indian J Plant Physiol 23:536-542. doi:10.1007/s40502-018-0402-8
10.1007/s40502-018-0402-8
21
Nambiar N, Siang TC, Mahmood M (2012) Effect of 6-Benzylaminopurine on flowering of a Dendrobium orchid. Aust J Crop Sci 6:225-231
22
Newton LA, Runkle ES (2015) Effects of benzyladenine on vegetative growth and flowering of potted Miltonipsis orchids. Acta Hortic 1078:121-127. doi:10.17660/ActaHortic.2015.1078.16
10.17660/ActaHortic.2015.1078.16
23
Park JS, Chung JD, Kim HY (2001) Influence of temperature, GA, BA, and uniconazole on flower bud formation of Cymbidium goeringii. J Kor Soc Hortic Sci 42:587-590
24
Rhie YH, Lee SY, Park JH, Kim HS (2014) Scarification and gibberellic acid affecting to dormancy breaking of variegated Solomon's seal (Polygonatum odoratum var. pluriflorum 'Variegatum'). Korean J Hortic Sci Technol 32:296-302. doi:10.7235/hort.2014.13146
10.7235/hort.2014.13146
25
Rünger W (1984) Effect of 6-benzyladenine at different temperatures in short day on flowering and vegetative growth Schlumbergera. Gartenbauwissenschaft 49:36-39
26
Ryu SH, Rhie YH, Lee SY, Ko CH, Lee JH, Lee HJ, Lee KC (2017) Effect of after-ripening, cold stratification, and GA3 Treatment on Lychnis wilfordii (Regel) Maxim seed germination. Hortic Sci Technol 35:525-533. doi:10.12972/kjhst 20170057
10.12972/kjhst.20170057
27
Sanderson KC, Ho YS, Martin, Jr WC, Reed RB (1986) Effect of photoperiod and growth regulators in growth of three Cactaceae. HortScience 21:1381-1382
28
Semeniuk P, Griesbach RJ (1985) Bud applications of BA induces branching of a nonbranching poinsettia. HortScience 20:120-121
29
Shimomura T, Fujihara K (1980) Stimulation axillary shoot formation of cuttings of Hylocereus trigonus (Cactaceae) by pre-soaking in benzyladenine solution. Sci Hortic 13:289-296. doi:10.1016/0304-4238(80)90068-0
10.1016/0304-4238(80)90068-0
30
Svenson SE (1991) Rooting and lateral shoot elongation of verbena following benzylaminopurine application. HortScience 26:391-392 doi:10.21273/HORTSCI.26.4.391
10.21273/HORTSCI.26.4.391
31
Tsegay BA, Andargie M (2018) Seed priming with gibberellic acid (GA3) alleviates salinity induced inhibition of germination and seedling growth of Zea mays L., Pisum sativum var. abyssinicum and Lathyrus sativus L. J Crop Sci Biotechnol 21:261-267. doi:10.1007/s12892-018-0043-0
10.1007/s12892-018-0043-0
32
Yoon SM, Kim YJ, Ryu SH, Choi H, Kim SY, Lee SY (2019) Concentration and timing of exogenous foliar spray of benzyladenine and ethephone influence crown bud formation in three Hosta taxa. Hortic Sci Technol 37(5):559-570. doi:10.7235/HORT.20190056
33
Yoon SM, Lee SY, Kim YJ, Ryu SH, Choi H, Lee JS, Kim SY (2018) Effect of BA concentration and treatment time on crown bud formation in Hosta minor f. alba and H. 'White Edge'. Hortic Sci Technol 36(suppl I):157 (Abstr). doi:10.12972/kjhst.20170057
10.12972/kjhst.20170057
페이지 상단으로 이동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