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earch Article

Hort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28 February 2020. 32-43
https://doi.org/10.7235/HORT.20200004

ABSTRACT


MAIN

  • 서 언

  • 재료 및 방법

  •   실험재료

  •   1-MCP 및 AVG 처리 및 저장

  •   과실 특성 평가

  •   Ethylene 및 CO2 발생량 조사

  •   RNA 분리 및 Real-Time PCR

  •   통계처리

  • 결과 및 고찰

  •   처리에 따른 저장 중 과실 특성 변화

  •   Ethylene 과 CO2 발생량 변화

  •   과실 성숙 및 에틸렌 합성 관련 유전자 발현 분석

서 언

국내의 주요 과종인 복숭아 과실의 성숙은 호르몬 합성을 포함한 여러가지 요인들에 의해 조절된다(Hiwasa et al., 2003). 복숭아는 호흡급등형 과실로 에틸렌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에틸렌 생합성과 관련한 기작을 통해 과실의 성숙을 조절한다(Lelièvre et al., 1997; Alexander and Grierson, 2002; Rasori et al., 2002). 에틸렌은 과실의 성숙 과정에서 세포의 작용 부위에 결합하여 성숙과 노화를 촉진하고(Burg and Burg, 1967; Lelièvre et al., 1997), 성숙과 ‧ 관련된 ‧ 생화학적 변화를 유도하며(Mathooko et al., 2001; Ruperti et al., 2001), 연화를 빠르게 진행시킴으로써 저장성의 약화를 초래한다(Choi, 2005).

1-Methylcyclopropene(1-MCP)는 에틸렌의 작용을 억제하는 유용한 물질로 과실과 채소의 보구력 향상을 위한 연구에 많이 이용되고 있다(Lulie, 2007; Watkins, 2008). 1-MCP는 에틸렌과 유사한 가스의 형태로 되어 있어 에틸렌 수용체와 특이적으로 결합하여 에틸렌의 작용을 억제하고 연화를 지연시키는데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Sisler and Serek, 1997; Watkins, 2008).

Aminoetoxyvinylglycine(AVG)는 과실을 포함한 식물체에서 에틸렌 생합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McGlasson et al., 2005; Yuan and Li, 2008). ‘리테인’이라는 상품명으로 사과 등에서 과실의 낙과 방지 또는 저장성 향상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AVG는 에틸렌 생합성 과정에서 ACC를 합성하는 ACC synthase의 작용을 억제함으로써 에틸렌 생합성을 억제하여 고품질의 과실을 생산할 수 있다(Yang and Hoffman, 1984; Halder-Doll and Bangerth, 1987).

복숭아는 성숙 과정 중 exopolygalacturonase(exoPG), endopolygalacturonase(endoPG) 등의 다양한 효소의 활성이 증가하여 과실의 연화가 진행된다(Pressey and Avants, 1973; Brummell et al., 2004; Hayama et al., 2006). 또한 품종에 따라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과실의 성숙 중에 세포벽에서는 다당체의 분해 또는 변형에 관여하는 효소의 활성도 증가한다(Yoshioka et al., 1992; Orr and Brady, 1993).

복숭아의 과실은 다른 과종에 비해 수확 후부터 과실의 연화가 급격하게 진행되어 보구력이 약한 특징을 지니고 있다. 외국은 물론 국내에서는 복숭아의 보구력을 개선하기 위한 저장 방법 개발 및 처리기술 개발(Oh et al., 1996; Bonghi et al., 1999; Park, 1999; Kim et al., 2003; Chung et al., 2006; Choi and Bae, 2007; Yoo et al., 2018)을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또한, 복숭아에서 훈증용 1-MCP와 에틸렌 흡착제를 이용한 저장성 향상에 관한 연구는 진행되어 왔으나(Dal Cin et al., 2006; Hayama et al., 2008), 1-MCP 및 AVG의 수체 살포에 따른 저장성 향상에 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마도카’ 품종의 복숭아나무에 1-MCP와AVG를 처리한 후 과실을 수확하고, 상온 및 저온 ‧ 저장 ‧ 기간 ‧ 동안 과실 특성의 변화 양상과 성숙과 관련된 유전자의 발현 양상을 조사함으로써 복숭아의 유통기간 연장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실험재료

2017년과 2018년에 경상북도 경산시에서 관행 농법으로 재배되는 7년생인 복숭아(‘마도카’, ‘유명’ 공대) 성목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시험구 배치는 1주를 1반복으로 완전임의배치 4반복으로 수행하였다. 같은 조건의 나무에 1-MCP 및 AVG를 처리한 후 80% 정도 성숙된 복숭아 과실 중에서 과중 및 착색 정도가 비슷한 과실을 선별, 수확하여 실험재료로 사용하였다.

1-MCP 및 AVG 처리 및 저장

1-MCP(1-Methlycyclopropene, HarvistaTM, 3.8%, AgroFresh Inc, P.A. USA)와 AVG(Amino-ethoxyvinylglycine, Retain, Youngil Chemical, 15% W/W)를 복숭아 나무에 살포하였다. 2017년에는 1-MCP(120, 240mg·L-1)를 수확 전 수확 전 30일부터 7일간격으로 3회 살포하고 AVG(75mg·L-1) 를 수확 전 21일부터 2회 처리하였다. 2018년에는 수확 전 30일부터 1-MCP를 (240mg·L-1)를 3회, 수확 전 21일부터 AVG(75mg·L-1)를 2회, 1-MCP(240mg·L-1) + AVG(75mg·L-1)를 2회 처리하였다. 과실은 유통용 상자에 넣어 한 층으로 유지하여 상온(25°C)과 저온(12°C)에 저장하였다. 수체에서 유지되는 과실과 수확 후의 과실에서의 물질 처리에 의한 유전자 발현 차이를 비교하기 위하여 과실 수확기에 각각 3주의 식물체에 1-MCP(240mg·L-1)와 AVG(75mg·L-1)를 분무처리하고 수확한 과실과, 임의로 수체로부터 수확한 후에 1-MCP(240mg·L-1)와 AVG(75mg·L-1) 를 분무처리한 과실로 구분하여 24시간이 경과한 후 액체질소에서 급속 냉동한 후 ‑80°C에서 보관하였다.

과실 특성 평가

수확한 과실을 상온저장하면서 수확 직후, 2일, 4일, 6일이 경과한 후에, 저온저장중에는 4일, 8일이 경과한 후에 과실 특성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각각 6개의 과실을 대상으로 과중, 경도, 가용성 고형물 함량, 산 함량, 과피색 색도의 특성 변화를 조사하였다. 과실 경도는 계측어댑터의 직경이 11mm인 과실경도계(EST-FG2V, POLYGON, China와 EFG-1000, ENPAIX, China)를 사용하여 복숭아 적도면의 과피를 제거한 후 과실 당 2회 측정한 값을 평균하여 Newton(N)으로 나타냈다. 가용성 고형물 함량은 과즙 1mL을 디지털 당도계(PAL-1, ATAGO, Japan)로 측정하여 °Brix로 나타냈다. 산 함량은 과즙 0.3mL를 증류수 30mL에 희석하고 디지털 과일 산도계(GMK-835N, ㈜GMK, Korea)를 이용하여 %로 나타냈다. 색도는 과실의 봉합선을 기준으로 과실 적도면을 과실 당 3회 색도계(CR-300, MINOLTA, Japan)를 이용하여 측정한 a값(백판 L 93.8, a 0.3130, b 0.3195)을 평균하였다.

Ethylene 및 CO2 발생량 조사

에틸렌 발생량과 호흡량은 저장 중인 과실을 실온(25°C)에서 안정화를 시킨 후 6개의 과실을 대상으로 각각 1L의 용기에 넣어 1시간 동안 밀폐한 후 1mL의 용기 내의 공기를 포집하여 GC(GC-2010, Schmadzu, Japan)를 이용하여 에틸렌 및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에틸렌 분석 조건은 Sample 양 1mL을 Carrier gas N2(20mL/min)조건에서 Column(SUS ID 2mm x 1m, active alumina 60 ‑ 80mesh 150°C)을 이용하여, Detector는 FID 250°C조건하에 측정되었다. 이산화탄소 분석 조건은 Sample 양 0.5mL을 Carrier gas H2(40mL/min)조건에서 Column(SUS ID 2mm × 1m, active carbon 60 ‑ 80mesh 150°C)을 이용하여, Detector는 TCD 180°C조건하에 측정되었다.

RNA 분리 및 Real-Time PCR

수확 전 수체에 처리한 복숭아와 수확 후 과실에 처리한 복숭아에서 RNA를 분리하였다. 수확 후 바로 과피와 과육을 포함한 두께 1 ‑ 2mm를 액체질소에서 동결시키고 RNA분리까지 ‑80°C에서 보관하여 이용하였다. RNA분리는 와 Chang et al. (1993)Hu et al.(2002)의 방법을 이용하였다. Nano Drop spectrophotometer(ND-1000, Technologies Inc., Wilmington, DE, USA)을 이용하여 RNA 정량 후 500mg·mL-1로 희석된 total RNA로부터 GoScriptTM Reverse Transcription System (GoScriptTM Reverse Transcription System, Promega, Madison, USA)를 통해 cDNA를 합성하였고, 이 cDNA를 이용하여 real-time PCR을 수행하였다.

Real-time PCR은 에틸렌 생합성 관련 유전자 PpACOPpACS1, 에틸렌 수용체 관련 유전자PpEIN3PpERS1, 세포벽 관련 유전자인 PpPG, PpPGL, PpPME, PpLOX1(Table 1)의 프라이머를 이용하였고, SYBR Premix Ex(SYBR Premix Ex Taq, TaKaRa Bio Inc., Osaka, Japan)을 사용하였다. 반응 조건은 95°C에서 30초 95°C에서 5초, 60°C에서 30초의 조건으로 총 40회 반복하였다. Transcript 수치는 복숭아의 Actin gene을 대조구로 사용하여 표준곡선을 통해 나타냈으며 이 수치를 유전자 발현 값 분석 data로 이용하였다.

Table 1. NCBI accession numbers from NCBI and primer nucleotide sequences of genes used for real-time PCR analysis in this study

NCBI Accession no.Gene Primer sequences
1-aminocyclopropane-1-carboxylic acid oxidase (ACO) XM_007215636.2z 5'-CAATGGAGAGGGAAGAAAAGCA-3' 5'-CTCAAAGAAGCCCCAGTTCTCA-3'
1-aminocyclopropane-1-carboxylic acid synthase 1 (ACS1) XM_007218994.2 5'-GCAAACATGGATGACGAGACTG-3' 5'-TCCCTTGGCGTACAAATGTTCT-3'
Ethylene-insensitive protein 3 (EIN3) XM_020567021 5'-ATTGGGAGTGGAGGATTTGGTT-3' 5'-CAATGCAATGCCTGAAAGACTG-3'
Ethylene response sensor 1 (ERS1) XM_007199675 5'-AGGGAGCATTGTTGCATTCATT-3' 5'-TGGTTGTGGTTGTGGTTGTGGTA-3'
Polygalcturonase (PG) XM_007213822.2* 5'-AACTCAGCCATAGCCACTCCAG-3' 5'-CAGAGAGGAAGGCTTTTGTGGA-3'
Polygalcturonase-like (PGL) XM_007213828.2 5'-AACTCAGCCATAGCCACTCCAG-3' 5'-GAGGAAGGCTTTTGTGGAGTCA-3''
Pectin methylesterase (PME) AB231903 5'-CCGGGAAGCTTTCTGATCTTTT-3' 5'-CCTGGATAGCTCCCTTTTGCTT-3'
Lipoxygenase (LOX1) AT1G55020 5'-GACCACCAACCAGCACAGATGA-3' 5'-CTCCTTGCTTCGCCTCCTCAAA-3'

zNCBI,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통계처리

통계분석은 SPSS프로그램(IBM SPSS Statistics 20, SPSS Inc., USA)으로 분산분석을 실시하였고 실험처리 평균치 간의 유의성은 Duncan’s multiple ranges test(p < 0.05)으로 검정하였다.

결과 및 고찰

처리에 따른 저장 중 과실 특성 변화

중생종 품종인 ‘마도카’ 복숭아 과실을 대상으로 에틸렌의 작용과 에틸렌 생합성을 억제하는 기능을 나타내는 1-MCP와 AVG를 수확 3주 전부터 단용 및 혼용으로 수체에서 처리한 후, 저장 중에 복숭아 과실의 특성변화를 조사하였다.

2017년과 2018년에 처리한 과실을 상온(Table 2)과 저온(Table 3)에서 저장하였을 때 저장 중에 가용성 고형물 함량 및 산 함량, 색도 등의 과실 특성에는 처리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Table 2. Fruit characteristics of 'Madoka' peaches stored at ambient temperature after pre-harvest treatment of trees with 1-MCP and AVG

Year Treatments (mg·L-1) Soluble solids (°Brix) Acidity (%) Hunter's Value a
Days after harvest
0 2 4 6 0 2 4 6 0 2 4 6
2017 Control 13.2 az 13.9 a 13.3 a 12.7 b 0.5 a 0.5 a 0.4 a 0.4 a 32.3 a 32.5 a 23.9 b 28.9 ab
1-MCP 120 12.8 b 12.8 ab 13.2 a 12.9 a 0.4 a 0.4 a 0.4 a 0.5 a 15.8 b 28.7 ab 34.4 a 30.0 a
1-MCP 240 12.3 b 12.0 ab 13.2 a 12.7 b 0.4 a 0.4 a 0.4 a 0.4 a 18.1 b 27.7 ab 25.7 b 29.6 a
AVG 75 13.3 a 10.8 b 13.3 a 13.5 a 0.4 a 0.4 a 0.4 a 0.5 a 28.2 ab 23.7 b 24.2 b 21.4 b
2018 Control 15.8 a 15.6 b 15.7 a 16.4 a 0.5 a 0.6 a 1.1 a 1.1 a 38.0 a 32.8 a 36.0 b 29.1 ab
1-MCP 120 15.1 a 15.8 b 15.1 a 15.1 b 0.5 a 0.6 a 1.2 a 1.0 a 35.1 b 28.1 ab 37.8 a 25.6 b
1-MCP 240 15.6 a 15.6 b 15.5 a 15.6 ab 0.5 a 0.6 a 1.1 a 1.1 a 35.3 b 24.5 b 36.3 b 34.0 a
AVG 15.1 a 15.3 b 15.0 a 14.8 b 0.5 a 0.6 a 1.1 a 1.1 a 35.2 b 23.8 b 38.0 a 31.3 ab
AVG + 1-MCP 16.7 a 16.6 a 15.6 a 15.7 ab 0.5 a 0.7 a 1.2 a 1.1 a 36.2 ab 31.8 a 36.8 b 34.5 a

zMean separation within columns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p < 0.05.

Table 3. Fruit characteristics of 'Madoka' peaches stored at low temperature after pre-harvest treatment of trees with 1-MCP and AVG

Year Treatments (mg·L-1) Soluble solids (°Brix) Acidity (%) Hunter's Value a
Days after harvest
0 4 8 0 4 8 0 4 8
2017 Control 13.2 az 13.2 a 13.3 a 0.5 a 0.4 a 0.4 a 32.3 a 34.1 a 26.2 a
1-MCP 120 12.8 b 12.8 ab 12.6 b 0.4 a 0.4 a 0.5 a 15.8 b 17.5 bc 24.2 ab
1-MCP 240 12.3 b 11.6 b 13.8 a 0.4 a 0.5 a 0.5 a 18.1 b 20.2 b 22.8 ab
AVG 75 13.3 a 12.0 ab 12.6 b 0.4 a 0.4 a 0.5 a 28.2 ab 14.0 c 19.9 b
2018 Control 15.8 a 14.9 b 15.2 ab 0.5 a 0.7 a 1.0 a 38.0 a 36.6 b 34.5 a
1-MCP 120 15.1 b 15.4 a 14.1 b 0.5 a 0.6 a 1.0 a 35.1 b 38.8 a 30.3 b
1-MCP 240 15.6 a 15.2 a 14.0 b 0.5 a 0.7 a 1.0 a 35.3 b 37.0 ab 33.5 a
AVG 15.1 b 15.2 a 13.8 b 0.5 a 0.7 a 1.0 a 35.2 b 40.3 a 34.8 a
AVG + 1-MCP 16.7 a 15.6 a 16.2 a 0.5 a 0.8 a 1.0 a 36.2 b 37.5 ab 31.0 b

zMean separation within columns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p < 0.05.

저장 중 과실의 경도 변화는 기간이 경과하면서 처리 간에 차이가 나타났다. 상온 저장 시, 6일이 경과하면서 무처리구에 비해 1-MCP 또는 AVG를 처리한 과실에서 경도의 저하가 억제되었고 저온 저장 중에는 8일 이후부터 1-MCP 또는 AVG를 처리한 과실에서 경도가 높게 유지되었다. 또한 2018년도에는 1-MCP와 AVG를 혼용 처리한 과실에서의 특성 변화는 AVG 단용처리에 비해 유의성이 있는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Fig. 1).

http://static.apub.kr/journalsite/sites/kshs/2020-038-01/N0130380104/images/HST_38_01_04_F1.jpg
Fig. 1.

Firmness of ‘Madoka’ peaches stored at ambient temperature (25°C, A) and low temperature (12°C, B) after pre-harvest treatment of plants with 1-MCP and AVG.

저장 중인 사과 과실에 훈증용 1-MCP 처리를 하면 과실의 경도는 높게 유지되고 가용성 고형물 함량은 변화가 없는 것으로 보고되었다(Rupasinghe et al., 2000; Watkins et al., 2000, 2005; Lim et al., 2007; Park et al., 2009; Park et al., 2012). 수확 후에 1-MCP를 처리하면 복숭아 과실로부터의 에틸렌 발생이 억제되고 복숭아의 저장 기간이 연장된다고 보고되어 있다(Kluge and Jacomino, 2002; Choi, 2005). 수체상에서의 AVG 처리에 의해 천도복숭아의 성숙을 지연시키고 저장력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McGlasson et al., 2005). 1-MCP와 AVG가 에틸렌 발생량을 감소시켜 유기산이 호흡 기질로 전환되는 것을 억제하여 과실의 품질 또한 유지하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Rupasinghe et al., 2000; Toivonen and Lu, 2005). 수체 살포용인 1-MCP와 AVG은 에틸렌 작용억제와 생합성 억제를 통해 과실의 품질을 유지하는데 효과적이라고 알려져 있다(Watkins et al., 2004; Watkins and Nock, 2005; Park et al., 2009; Yoo and Kang, 2013). 본연구에서는 1-MCP와 AVG의 수체 처리에 의해 복숭아 과실의 가용성 고형물 함량 및 산 함량, 색도 등의 과실 특성은 처리 간의 차이가 없었으며, 저장 중 과실의 경도 변화는 기간이 경과하면서 처리 간에 차이가 나타났다. 이는 기존의 연구 결과와 같이 1-MCP와 AVG의 처리에 의해 과실의 에틸렌 합성과 작용을 억제하여 경도를 유지한 때문으로 여겨진다.

Ethylene 과 CO2 발생량 변화

수확 전에 수체상에서 1-MCP와 AVG를 처리한 후 복숭아 과실을 대상으로 저장 기간에 에틸렌 발생과 호흡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에틸렌의 발생은 수확 직후에도 무처리구에 비해 1-MCP와 AVG를 처리한 과실에서 현저하게 낮았다. 에틸렌 발생은 상온 저장과 저온저장 조건에서 모두 저장 일수가 경과함에 따라 무처리구에서 가장 높았으며 1-MCP와 AVG를 처리한 모든 과실에서 낮게 나타났다. 그 중에서 AVG의 단용 처리한 과실과 AVG와1-MCP를 혼용 처리한 과실에서 에틸렌 발생이 현저하게 낮았다(Fig. 2).

http://static.apub.kr/journalsite/sites/kshs/2020-038-01/N0130380104/images/HST_38_01_04_F2.jpg
Fig. 2.

Ethylene production of ‘Madoka’ peaches stored at ambient temperature (25°C, A) and low temperature (12°C, B) after pre-harvest treatment of plants with 1-MCP and AVG.

1-MCP와 AVG를 처리한 과실에서 호흡의 변화를 조사한 결과, 호흡은 저장 일 수가 경과함에 따라 상온 저장과 저온 저장 중인 과실에서 에틸렌 발생량과 마찬가지로 1-MCP와 AVG 처리에 의해 호흡이 억제되었다. 상온에서는 처리 간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통계상 유의성이 인정되었고, 무처리구에 비해 AVG 단용처리구에서 호흡 감소가 확인되었다(Fig. 3A). 2018년도의 실험에서 복숭아 과실의 후숙이 진행되면서 호흡의 감소가 진행되었으며 저장 6일차에 호흡이 급격하게 감소하였는데 이는 2017년도 과실에 비해 성숙이 더 진행된 과실이 분석에 사용되었기 때문으로 여겨진다.

http://static.apub.kr/journalsite/sites/kshs/2020-038-01/N0130380104/images/HST_38_01_04_F3.jpg
Fig. 3.

Respiration of ‘Madoka’ peaches stored at ambient temperature (25°C, A) and low temperature (12°C, B) after pre-harvest treatment of plants with 1-MCP and AVG.

저온에서 저장 중인 과실에서의 호흡 변화는 상온저장에 비해 대체로 적었으며, 저온에서 저장 중인 과실의 호흡 변화는 처리 간에 차이를 나타내었다(Fig. 3B). 특히 2018년도의 실험에서는 시간이 경과하면서 모든 처리구에서 이산화탄소 생성량이 감소하였으며, 수확 직후에도 무처리구에 비해 처리구에서 이산화탄소 생성량이 감소하였다. 그러나 상온 저장 중인 과실에서 6일과 저온 저장중 과실에서 8일이 경과하면 호흡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는데, 이는 과실이 더 이상 성숙이 진행되지 않아 호흡이 감소한 것으로 생각된다.

복숭아는 수확 후 과실 저장 중에 성숙을 촉진하는 에틸렌 발생을 억제함으로써 저장기간을 연장할 수 있다고 보고되어 있다(Tonutti et al., 1991, 1996; Lelièvre et al.,1997; Hayama et al., 2006). 사과와 복숭아 등의 호흡급등형 과실에 1-MCP를 훈증 처리하여 에틸렌 및 이산화탄소의 발생량을 억제하여 품질을 유지할 수 있다고 보고되어 있다(Lim et al., 2007; Yuan and Li, 2008; Park and Yoon, 2012). 에틸렌 발생을 억제하기 위한 1-MCP 처리는 복숭아 경도에 미치는 영향은 미비하나 에틸렌 작용 및 호흡 발생을 억제함으로써 과실의 품질을 유지하는데 효과적이다(Liguori et al., 2004; Choi and Bae, 2007; Seo et al., 2007). 에틸렌 생합성 억제 물질인 AVG를 과실에 침지 처리하여도 저장기간을 연장하는 데 효과적인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Garner et al., 2001; Hayama et al., 2006, 2008).

1-MCP와 AVG를 수확 전 수체에 살포하였을 때 저장 중 사과 과실의 에틸렌 발생 및 호흡량을 감소시켜 경도를 높게 유지하며 과실의 연화를 지연시키는데 도움을 준다(Moran and McManus, 2005; Yoo et al., 2018).

사과에서 보고된 바와 마찬가지로 본 연구에서는 수확 전에 ‘마도카’ 복숭아 품종의 수체에 1-MCP와 AVG를 처리하면, 수확 후 과실의 저장 중에 에틸렌의 발생과 이산화탄소 발생을 억제하여 저장 기간의 연장 효과가 나타난 것으로 사료된다.

과실 성숙 및 에틸렌 합성 관련 유전자 발현 분석

수확 전 수체처리와 수확 후 처리를 구분하여 1-MCP와 AVG를 과실에 처리한 후 24시간이 경과한 복숭아 과실에서 과실의 성숙과 관련된 유전자 발현을 조사하였다. 수확 전 수체에서 처리한 과실에서 당대사에 관여하는 효소인 polygalacturonase 유전자(PpPG, PpPGL)의 발현이 크게 억제되었다(Fig. 4). 과실의 펙틴 분해와 관련이 있는 PpPME 유전자 발현도 1-MCP 및 AVG 처리에 의해 억제되었으며 수체에 처리한 과실에서 대체로 적게 나타났다. 과실의 성숙이 진행되면서 발현이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진 PpLOX1는 1-MCP 및 AVG 처리 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수확 후 처리 보다 수체에 수확 전에 처리한 과실에서 발현이 억제되었다. 또한 AVG 또는 1-MCP의 단용처리에서 유전자의 발현이 억제되었다.

http://static.apub.kr/journalsite/sites/kshs/2020-038-01/N0130380104/images/HST_38_01_04_F4.jpg
Fig. 4.

Expression of PpPG, PpPGL, PpPME, and PpLOX1 in ‘Madoka’ peach fruits after pre-harvest treatment and post- harvest treatment of plants with several ethylene inhibiting chemicals. PG; polygalacturonase, PGL; polygalacturonase, PME; pectin methylesterase, LOX1; lipoxygenase 1.

1-MCP와 AVG를 처리한 후 24시간이 경과한 복숭아에서 과실의 성숙과정에서 에틸렌의 대사에 관여하는 4개의 유전자 발현 차이를 비교하였다. 1-Aminopropane-1-carboxylic acid(ACC) oxidase 유전자(PpACO)는 수확 전에 1-MCP(240mg·mL-1)를 처리한 과실에서 발현이 크게 억제되었으며 수확 후에 처리한 과실에서는 1-MCP와 AVG를 처리한 과실에서 발현이 억제되었다(Fig. 5). ACC synthase 유전자(PpACS1)는 수확 후에 처리한 모든 처리구 과실에서 발현이 크게 억제되었으며 수체에 처리한 모든 과실에서는 대체로 유전자의 발현이 낮게 유지되었다. 수확 후 과실에 1-MCP(120mg·L-1, 240mg·L-1)를 처리한 경우 PpACS1의 발현이 높게 나타났으나, AVG + 1-MCP 처리한 과실에서는 낮게 유지되어 처리 물질에 따른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http://static.apub.kr/journalsite/sites/kshs/2020-038-01/N0130380104/images/HST_38_01_04_F5.jpg
Fig. 5.

Expression of ethylene-related genes PpACO, PpACS1, PpEIN3, and PpERS1 in ‘Madoka’ peach fruits after pre- harvest treament and post-harvest treatment of plants with several ethylene inhibiting chemicals. ACO; 1-aminopropane 1-carboxylic acid (ACC) oxidase, ACS1; ACC synthase 1, EIN3; ethylene insensitive protein 3, ERS1; ethylene response sensor 1.

또한 에틸렌 수용체의 대사와 관련이 있는 ethylene insensitive protein 3 유전자(PpEIN3)와 ethylene response sensor 1 유전자(PpERS1)의 발현이 PpACO와 마찬가지로 수확 후에 1-MCP와 AVG를 처리한 과실에서 낮게 나타났다.

복숭아는 과실 성숙이 진행되면서 당함량 증가가 수반되며 당대사에서 다당류를 이당류 또는 단당류로 분해해서 당도 향상에 관여하는 효소의 유전자인 PpPGPpPGL의 발현이 유도된다(Orr and Brady, 1993; Hegde and Maness, 1996; Byun et al., 2003; Brummell et al., 2004). 또한 복숭아는 과실 성숙이 진행되면서 세포벽 연화에 관여하는 효소도 함께 증가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Hobson, 1981; Fischer and Bennett, 1991; Chang et al., 1999; Chun and Kim, 2013). 1-MCP와 AVG의 수체 처리에 의해서 복숭아 과실의 PpPGPpPGL유전자 발현이 감소하였으며, 과실 세포의 구조 변화에 관여하는 효소 유전자인 PpPME의 발현도 억제되었다. 이러한 1-MCP와 AVG의 수체 처리에 따른 유전자의 발현 억제는 저장 중에 성숙의 진행이 지연되어 저장력의 향상에 기여한 것으로 여겨진다.

과실의 숙성과정에서 에틸렌 생합성 조절은 주로 ACC synthase와 ACC oxidase에 의해 조절된다(Kende, 1993; Wang et al., 2002; Yuan et al., 2010). 복숭아의 숙성 과정에서 PpACO PpACS1유전자 발현 정도가 에틸렌 생합성에 중요하게 연관된다고 보고되어 있다(Tonutti et al., 1996; Mathooko et al., 2001). 본연구에서는 1-MCP와 AVG처리에 의해서 복숭아 과실에서 경도가 높게 유지되었으며 동일한 처리구의 과실에서 PpACO PpACS1유전자 발현이 억제되는 결과를 얻었다. 이러한 결과는 복숭아에서 1-MCP와 AVG처리에 의해 과실 성숙에 관여하는 PpACO PpACS1유전자 발현이 억제됨으로써 과실의 성숙과 연화를 억제하는 것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과실이 성숙하는 동안 에틸렌 생합성이 진행되면서 에틸렌 수용체의 발현 증가가 수반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Klee, 2004; Dal Cin et al, 2006; Kevany et al., 2007). 본 연구에서는 1-MCP 또는 AVG처리에 의해 에틸렌 수용체인 PpEIN3, PpERS1유전자는 PpACO,PpACS1와 마찬가지로 수확 후 과실에 1-MCP와 AVG 를 처리하였을 때 유전자가 낮게 발현되어 에틸렌 생합성 및 작용이 억제되었음을 추정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에서 재배되는 주요 복숭아인 ‘마도카’ 품종의 수체에 1-MCP와 AVG를 분무하고 수확하여 상온과 저온 저장 중 과실 특성 변화를 조사하였다. 수체에서 1-MCP와 AVG를 처리한 결과, 복숭아 과실의 가용성 고형물 함량 및 산 함량, 색도 등의 과실 특성에는 처리 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저장 중 과실의 경도 변화는 기간이 경과하면서 처리 간 차이가 나타났다. 에틸렌 발생은 수확 직후의 과실과 저장 중인 과실에서 1-MCP와 AVG 처리에 의해 현저하게 낮아졌다. 시간이 경과하면서 모든 처리구에서 호흡률이 감소하였다. 또한 당대사, 세포벽 연화와 관련된 유전자는 물론 에틸렌 생합성과 수용체의 반응에 관여하는 유전자의 발현이 억제되었다. 결과적으로 1-MCP와 AVG 의 수체 처리에 의해 저장 중인 과실의 에틸렌 합성과 호흡률의 감소를 유도하여 저장기간 연장효과가 나타난 것으로 여겨진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복숭아의 보구력 향상 및 저장 기간 연장을 위한 기술 개발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복숭아의 소비 촉진과 해외 수출 확대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여겨진다.

Acknowledgements

본 논문은 농촌진흥청 공동연구사업(과제번호: PJ012717)의 지원에 의해 수행되었음.

References

1
Alexander L, Grierson D (2002) Ethylene biosynthesis and action in tomato: A model for climacteric fruit ripening. J Exp Bot 53:2039-2055. doi:10.1093/jxb/erf072
10.1093/jxb/erf07212324528
2
Bonghi C, Ramina A, Ruperti B, Vidrih R, Tonutti P (1999) Peach fruit ripening and quality in relation to picking time, and hypoxic and high CO2 short-term postharvest treatments. Postharvest Biol Technol 16:213-222. doi:10.1016/S0925-5214(99)00028-9
10.1016/S0925-5214(99)00028-9
3
Brummell DA, Dal Cin V, Crisosto CH, Labavitch JM (2004) Cell wall metabolism during maturation, ripening and senescence of peach fruit. J Exp Bot 55:2029-2039. doi:10.1093/jxb/erh227
10.1093/jxb/erh22715286150
4
Burg SP, Burg EA (1967) Molecular requirements for the biological activity of ethylene. Plant Physiol 42:144-152. doi:10.1104/pp.42.1.144
10.1104/pp.42.1.14416656478PMC1086501
5
Byun JK, Kang IK, Chang KH, Kim DH, Lee DH, Kim IS, Shin SL, Choi DG (2003) Changes of pectic substances and polygalacturonase activity during fruit development of various peach cultivars with degrees of fruit softening. J Korean Soc Hortic Sci 44:503-507
6
Chang KH, Lee DH, Byun JK (1999) Changes in activities of cell wall hydrolases during softening in peach fruits. Hortic Environ Biotechnol 40:359-362
7
Chang S, Puryear J, Cairney J (1993) A simple and efficient method for isolating RNA from pine trees. Plant Mol Biol 11:113-116. doi:10.1007/BF02670468
10.1007/BF02670468
8
Choi SJ (2005) Comparison of the change in quality and ethylene production between apple and peach fruits treated with 1-methylcyclopropene (1-MCP). Korean J Food Preserv12:511-515
9
Choi ST, Bae RN (2007) Extending the postharvest quality of tomato fruit by 1-methylcyclopropene application. Korean J Hortic Sci 25:6-11
10
Chun JP, Kim JG (2013) Changes of quality indices and cell wall components during ripening and softening in peach fruit (Prunus persica L. Batsch). J Agric Life Sci 47:35-42
11
Chung DS, Hong YP, Lee YS (2006) Effects of modified atmosphere film packaging application and controlled atmosphere storage on changes of quality characteristics in 'Hongro' and 'Gamhong' apples. Korean J Hortic Sci Technol 24:48-55
12
Dal Cin V, Rizzini FM, Botton A, Tonutti P (2006) The ethylene biosynthetic and signal transduction pathways are differently affected by 1-MCP in apple and peach fruit. Postharvest Biol Technol 42:125-133. doi:10.1016/j.postharvbio.2006.06.008
10.1016/j.postharvbio.2006.06.008
13
Fischer RL, Bennett AB (1991) Role of cell wall hydrolases in fruit ripending. Annu Rev Plant Physiol Plant Mol Biol 42:675-703. doi:10.1146/annurev.pp.42.060191.003331
10.1146/annurev.pp.42.060191.003331
14
Garner D, Crisosto CH, Otieza E (2001) Controlled atmosphere storage and aminoethoxyvinylglycine postharvest dip delay post cold storage softening of 'Snow King' peach. HortTechnology 11:598-602. doi:10.21273/HORTTECH.11.4.598
10.21273/HORTTECH.11.4.598
15
Halder-Doll H, Bangerth F (1987) Inhibition of autocatalytic C2H4 biosynthesis by AVG applications and consequences on the physiological behavior and quality of apple fruits in cold storage. Sci Hortic 33:87-96. doi:10.1016/0304-4238(87)90035-5
10.1016/0304-4238(87)90035-5
16
Hayama H, Shimada T, Fujii H, Ito A, Kashimura Y (2006) Ethylene-regulation of fruit softening and softening-related genes in peach. J Exp Bot 57:4071-4077. doi:10.1093/jxb/erl178
10.1093/jxb/erl17817077183
17
Hayama H, Tatsuki M, Nakamura Y (2008) Combined treatment of aminoethoxyvinylglycine (AVG) and 1-methylcyclopropene (1-MCP) reduces melting-flesh peach fruit softening. Postharvest Biol Technol 50:228-230. doi:10.1016/j.postharvbio.2008.05.003
10.1016/j.postharvbio.2008.05.003
18
Hegde S, Maness NO (1996) Sugar composition of pectin and hemicellulose extracts of peach fruit during softening over two harvest seasons. J Am Soc Hortic Sci 121:1162-1167. doi:10.21273/JASHS.121.6.1162
10.21273/JASHS.121.6.1162
19
Hiwasa K, Kinugasa Y, Amano S, Hashimoto A, Nakano R, Inaba A, Kubo Y (2003) Ethylene is required for both the initiation and progression of softening in pear (Pyrus communis L.) fruit. J Exp Bot 54:771-779. doi:10.1093/jxb/erg073
10.1093/jxb/erg07312554720
20
Hobson GE (1981) Enzymes and texture changes during ripening. In J Friend and MJC Rhodes, eds, Recent advances in the biochemistry of fruit and vegetables. Academic Press, London, UK pp 123-124
21
Hu CG, Honda C, Kita M, Zhang Z, Tsuda T, Moriguchi T (2002) A simple protocol for RNA isolation from fruit trees containing high levels of polysaccharides and polyphenol compounds. Plant Mol Biol Rep 20:69. doi:10.1007/BF02801935
10.1007/BF02801935
22
Kende H (1993) Ethylene biosynthesis. Annu Rev Plant Physiol Plant Mol Biol 44:283-307. doi:10.1146/annurev.pp.44.060193.001435
10.1146/annurev.pp.44.060193.001435
23
Kevany B, Taylor M, Klee H (2007) Fruit‐specific suppression of the ethylene receptor LeETR4 results in early‐ripening tomato fruit. Plant Biol J 6:295-300. doi:10.1111/j.1467-7652.2007.00319.x
10.1111/j.1467-7652.2007.00319.x18086233
24
Kim BS, Kim MJ, Choi JH (2003) Effects of precooling treatments on the quality of peaches (Mibaek). Korean J Hortic Sci Technol 35:1233-1236
25
Klee HJ (2004) Ethylene signal transduction. Moving beyond Arabidopsis. Plant Physiol 135:660-667. doi:10.1104/pp.104.040998
10.1104/pp.104.04099815208412PMC514102
26
Kluge FA, Jacomino AP (2002) Shelf life of peaches treated with 1-Methylcyclopropene. Sci Agric 59:69-72. doi:10.1590/S0103-90162002000100010
10.1590/S0103-90162002000100010
27
Lelièvre JM, Latchè A, Jones B, Bouzayen M, Pech JC (1997) Ethylene and fruit ripening. Physiol Plant 101:727-739. doi:10.1111/j.1399-3054.1997.tb01057.x
10.1111/j.1399-3054.1997.tb01057.x
28
Liguori G, Weksler A, Zutahi Y, Lurie S, Kosto I (2004) Effect of 1-methylcyclopropene on ripening of melting flesh peaches and nectarines. Postharvest Biol Technol 31:263-268. doi:10.1016/j.postharvbio.2003.09.007
10.1016/j.postharvbio.2003.09.007
29
Lim BS, Oh SY, Lee JW, Hwang YS (2007) Influence of 1-methylcyclopropene treatment time on the fruit quality in the 'Fuji' apple (Malus domestica). Korean J Hortic Sci Technol 25:191-195
30
Lulie S (2007) 1-MCP in postharvest: Physiological mechanisms of action and applications. Fresh Produce 1:4-15
31
Mathooko FM, Tsunashima Y, Owino WZO, Kubo Y, Inaba A (2001) Regulation of genes encoding ethylene biosynthetic enzymes in peach (Prunus persica L.) fruit by carbon dioxide and 1‐methylcyclopropene. Postharvest Biol Technol 21:265-281. doi:10.1016/S0925-5214(00)00158-7
10.1016/S0925-5214(00)00158-7
32
McGlasson W, Rath A, Legendre L (2005) Preharvest application of aminoethoxyvinylglycine (AVG) modifies harvest maturity and cool storage life of 'Arctic Snow' nectarines. Postharvest Biol Technol 36:93-102. doi:10.1016/j.postharvbio.2004.10.006
10.1016/j.postharvbio.2004.10.006
33
Moran RE, McManus P (2005) Firmness retention, and prevention of coreline browning and senescence in 'Macoun' apples with 1-methycyclopropene. HortScience 40:161-163. doi:10.21273/HORTSCI.40.1.161
10.21273/HORTSCI.40.1.161
34
Oh SY, Shin SS, Kim CC, Lim YJ (1996) Effect of packaging films and freshness keeping agents on fruit quality of 'Yumyung' peaches during MA storage. J Korean Soc Hortic Sci 37:781-786
35
Orr G, Brady C (1993) Relationship of endopolygalacturonase activity to fruit softening in a freestone peach. Postharvest Biol Technol 3:121-130. doi:10.1016/0925-5214(93)90004-M
10.1016/0925-5214(93)90004-M
36
Park HG, Lim BS, Park YM (2009) Effects of 1-methycyclopropene treatment and controlled and atmosphere storage on poststorage metabolism and quality of 'Hongro' apples. Hortic Environ Biotechnol 50:313-318
37
Park YM, Yoon TM (2012) Effects of postharvest 1-MCP treatment, storage method, and shelf temperature on quality changes of 'Gamhong' apples during export simulation. Korean J Hortic Sci Technol 30:725-733. doi:10.7235/hort.2012.12106
10.7235/hort.2012.12106
38
Park YS (1999) Effects of storage temperatures and CA conditions on firmness, fruit composition, oxygen consumption and ethylene production of Asian pears during storage. J Korean Soc Hortic Sci 10:559-562
39
Pressey R, Avants JK (1973) S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endopolygalacturonase and exopolygalacturonase from peaches. Plant Physiol 52:252-256. doi:10.1104/pp.52.3.252
10.1104/pp.52.3.25216658542
40
Rasori A, Ruperti B, Bonghi C, Tonutti P, Ramina A (2002) Characterization of two putative ethylene receptor genes expressed during peach fruit development and abscission. J Exp Bot 53:2333-2339. doi:10.1093/jxb/erf097
10.1093/jxb/erf09712432026
41
Rupasinghe H, Mirr D, Paliyath G, Skog L (2000) Inhibitory effect of 1-MCP on ripening and superficial scald development in 'McIntosh' and 'Delicious' apple. J Hortic Sci Biotechnol 75:271-276. doi:10.1080/14620316.2000.11511236
10.1080/14620316.2000.11511236
42
Ruperti B, Bonghi C, Rasori A, Ramina A, Tonutti P (2001) Characterization and expression of two members of the peach 1-aminocyclopropane-1-carboxylate oxidase gene family. Physiol. Plant 111:336-344. doi:10.1034/j.1399-3054.2001.1110311.x
10.1034/j.1399-3054.2001.1110311.x11240918
43
Toivonen P, Lu C (2005) Studies on elevated temperature, short-term storage of 'Sunrise' summer apples using 1-MCP to maintain quality. J Hortic Sci Biotechnol 80:439-446. doi:10.1080/14620316.2005.11511957
10.1080/14620316.2005.11511957
44
Tonutti P, Bonghi C, Ramina A (1996) Fruit firmness and ethylene biosynthesis in three cultivars of peach (Prunus persica L. Batsch). J Hortic Sci 71:141-147. doi:10.1080/14620316.1996.11515390
10.1080/14620316.1996.11515390
45
Seo JS, Han CH, Kim MS, Lee CH, Kim BG, Pak JH, Hwang YS (2007) Influence of ethylene removal or 1-MCP treatment on shelf-life in peach fruit. Korean J Hortic Sci Technol 25(S1):183
46
Sisler EC, Serek M (1997) Inhibitors of ethylene responses in plants at the receptor level: Recent developments. Physiol Plant 100:577-582. doi:10.1111/j.1399-3054.1997.tb03063.x
10.1111/j.1399-3054.1997.tb03063.x
47
Tonutti P, Casson P, Ramina A (1991) Ethylene biosynthesis during peach fruit development. J Am Soc Hortic Sci 116:274-279. doi:10.21273/JASHS.116.2.274
10.21273/JASHS.116.2.274
48
Wang KLC, Li H, Ecker JR (2002) Ethylene biosynthesis and signaling networks. Plant Cell 14(S):S131-S151. doi:10.1105/tpc.001768
10.1105/tpc.00176812045274PMC151252
49
Watkins CB, Kupferman E, Rosenberger DA (2004) Apple. In KC Gross, CY Wang, and M. Saltveit, eds, The Commercial storage of fruit, vegetables, and florist and nursery stocks. Agr. Handbook No. 66. USDA-ARS, Beltsville, MD. pp 186-194
50
Watkins CB, Nock JF (2005) Effects of delays between harvest and 1-methylcyclopropene treatment, and temperature during treatment, on ripening of air-stored and controlled atmosphere stored apples. HortScience 32:1242-1246. doi:10.21273/HORTSCI.40.7.2096
10.21273/HORTSCI.40.7.2096
51
Watkins CB, Nock JF, Whitaker BD (2000) Responses of early, mid and late season apple cultivars to postharvest application of 1-methylcyclopropene (1-MCP) under air and controlled atmosphere storage conditions. Postharvest Biol Technol 19:17-32. doi:10.1016/S0925-5214(00)00070-3
10.1016/S0925-5214(00)00070-3
52
Yang SF, Hoffman NE (1984) Ethylene biosynthesis and its regulation in higher plants. Annu Rev Plant Physiol 35:155-189. doi:10.1146/annurev.pp.35.060184.001103
10.1146/annurev.pp.35.060184.001103
53
Yoo JG, Kang IK (2013) Effect of preharvest sprayable 1-methylcyclopropene (1-MCP) treatment on fruit quality attributes in cold stored 'Gamhong' apples. Protected Hortic Plant Factory 22:279-283. doi:10.12791/KSBEC.2013.22.3.279
10.12791/KSBEC.2013.22.3.279
54
Yoo JG, Lee YS, Win NM, Kwon SI, Jung HY, Cho YJ, Kang IK (2018) Effects of cold storage temperature treatments on fruit quality attributes in 'Hongro' apples. Korean J Food Preserv 25:779-785. doi:10.11002/kjfp.2018.25.7.779
10.11002/kjfp.2018.25.7.779
55
Yoshioka H, Aoba K, Kashimura Y (1992) Molecular weight and degree of methoxylation in cell wall polyuronide during softening in pear and apple fruit. J Amer Soc Hortic Sci 117:600-606. doi:10.21273/JASHS.117.4.600
10.21273/JASHS.117.4.600
56
Yuan R, Li J (2008) Effect of sprayable 1-MCP, AVG, and NAA on ethylene biosynthesis, preharvest fruit drop, fruit maturity, and quality of 'Delicious' apples. HortScience 43:1454-1460. doi:10.21273/HORTSCI.43.5.1454
10.21273/HORTSCI.43.5.1454
57
Watkins CB (2008) Overview of 1-methylcyclopropene trials and uses for edible horticultural crops. HortScience 43:86-94. doi:10.21273/HORTSCI.43.1.86
10.21273/HORTSCI.43.1.86
58
Yuan S, Wang Y, Dean JFD (2010) ACC oxidase genes expressed in the wood-forming tissues of loblolly pine (Pinus taeda L.)includeapairofnearlyidenticalparalogs(NIPs).Gene 453:24-36. doi:10.1016/j.gene.2009.12.008
10.1016/j.gene.2009.12.00820053371
페이지 상단으로 이동하기